[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아라리오갤러리가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진 구지윤 작가와 요한한 작가의 개인전을 각각 선보인다.
22일 서울 종로구 원서동에 위치한 아라리오갤러리에서는 구지윤 작가의 '실버(Sliver)'와 요한한 작가의 '엮는 자' 언론간담회가 개최됐다.
구지윤 작가는 일상에서 마주하는 서울의 도시 풍경으로부터 추출한 인상과 정서를 추상회화의 언어로 번안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번 '실버'는 선형적이고 단단한 도시의 표피 아래에 내재한 '빛'과 '시간'을 상징한다. 구 작가의 이번 전시는 아라리오갤러리에서 4년 만에 개최하는 개인전으로, 최근까지 제작한 근작 및 신작 회화 21점을 선보인다.
이날 박미란 아라리오갤러리 팀장은 "서울의 색을 떠올렸을 때 많은 사람들이 '그레이'와 '실버' 사이에서 고민을 한다. 작가님의 말을 빌리면 회색은 도심 속 오래 돼 사라지는 것들 위에 덧씌워진 고층 건물의 표면을 떠올리도록 한다면, 반짝이는 은빛은 한강 위 물비늘이 품은 생명력을 연상시킨다고 하셨다. 실버는 작가님에게 있어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지워진 것과 남겨진 것 사이를 떠도는 빛'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열리는 구지윤 작가의 '실버' 개인전 전시 전경. [사진=YANG Ian] 2025.04.22 alice09@newspim.com |
전시명인 '실버'는 주제로서의 도시와 매체로서의 회화 양측에 내재한 빛과 시간을 동시에 상징한다. 구지윤 작가는 "'실버'는 모든 색에 빛과 시간의 속성이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환기하는 상징"이라며 "2009년 2010년부터 서울 도시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는데 서울은 계속해서 무너지고 새롭게 지어지는 공사장 같은 도시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구 작가는 "끊임없이 무너지고 새로 지어지는 속도가 빨라서 그곳에 살고 있는 심리에 대해 주목하다보니 작품에도 크고 빠른 표현이 주로 이뤘다. 그러다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이 느리게 변해왔고, 거시적이고 높게 솟아있는 빌딩에 있던 시선이 땅으로 내려오게 됐다. 그런 지점이 이번 작품에 담아져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도시를 바라볼 때 도시는 수직 상승하는 성질이 있어 위를 바라보거나 할 때 거대한 건물로부터 압박을 받았다. 아이랑 도시를 걷거나 할 때 시선이 아래로 내려오다 보니 자연스럽게 바뀌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 먼지에 대한 관심으로 바뀌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구지윤 작가는 '실버'라는 전시명과 '빈티지', '파티나', '빛바랜 실버', '화석' 등의 작품명을 가진 작품을 소개한다. 이러한 작품명은 저마다 '시간의 축적'과 '나이 듦'의 감각을 환기한다.
'빈티지'는 작가가 오래 살았던 구축 아파트를 보며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그는 "오래된 아파트를 방문하게 되면서 발견된 벽의 금이나 벽면 색깔 변화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누군가에게는 낡고 오래된 콘크리트이지만, 저에게는 시간을 머금고 있는 추억이었다. '빈티지'에 여러 선이 나오는데 균열된 벽을 나타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열리는 구지윤 작가의 '실버' 개인전 전시 전경. [사진=YANG Ian] 2025.04.22 alice09@newspim.com |
구 작가는 여러 크기의 캔버스에 작품을 선보인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거미줄을 그려낸 '거미줄'은 '빈티지'에 비해 작은 캔버스에 그려져 있다. 그는 "큰 작품은 한 발 떨어져서 그림을 감상해주길 바랐고, 작은 그림의 경우 조금 가까이에서 세밀하게 봐주길 바라는 마음이었다. 거미줄은 자세히 보면 보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쉽게 지나칠 수가 있다. 거미줄이 거미에게는 하나의 공간인데 같은 반경에서 살아가는 것들 중 하나라고 느꼈다"고 답했다.
작가에게 실버는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지워진 것과 남겨진 것 사이를 떠도는 빛의 의미이다. 실버는 축적된 기억의 반사이며 순간적으로 나타나 존재하는 과거이자 사라지지 않는 시간의 잔영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는 그의 작품 전체에 녹아져 있다.
구지윤 작가는 "한 작품에 정말 많은 색이 레이어드 된다. 초반에 사용된 색깔은 묻히기 마련"이라며 "지금의 색깔이 나오기까지 이전 색감의 시간성이 있다. 작업 과정 안에서는 빠른 순간에 이성과 감성이 교차하는데, 지나간 시간이나 시간이 덧입혀진 걸 보여주고자 했다"고 말했다.
요한한 작가는 개인전 '엮는 자'를 통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제작된 작품 20점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이번에는 '과거와 미래가 공명하는 현재의 순간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형태를 실험하는' 과정 속에서 제작한 결과물을 다채롭게 선보인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열리는 요한한 작가의 개인전 '엮는 자' 전시 전경. [사진=아라리오갤러리] 2025.04.22 alice09@newspim.com |
전시주제 '메티사주'는 프랑스어로 '혼합'의 의미를 가진다. 서로 다른 요소들이 융합해 새로운 정체성과 담론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가리킨다. 요한한 작가는 다양한 문화권의 전통문화 속 원시적 제의와 토속신앙에서 발견된 소재를 동시대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 감각 경험과 연결시켰다.
요 작가는 "저는 주로 다매체를 사용하는 편이다. 오브제에 초점을 둬서 파생되는 소리나 퍼포먼스 아카이브 영상을 위주로 구상한다. 퍼포먼스 안에서 이뤄지는 작업을 공간에 펼치는데 이번에는 조각으로 표현을 해야 해서 조금은 어려웠다"고 말했다.
요 작가 작업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동물의 외피를 재료 삼아 제작한 '북'이다. 그는 "사용된 외피는 주로 소이다. 이외에도 말, 염소, 노루의 외피를 사용했는데 북 메우기에 사용된 가죽은 자연사 한 동물의 외피"라며 "외피에 염색을 했는데, 외피가 물감과 만났을 때 작용하는 성질이 있다. 피부 결에 따라 물감이 퍼지는 게 다른데 그런 자연스러움이 나타나 있다"고 설명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열리는 요한한 작가의 개인전 '엮는 자' 전시 전경. [사진=아라리오갤러리] 2025.04.22 alice09@newspim.com |
작가에게 피부는 단순한 신체의 표면을 넘어 내면과 외부 세계를 잇는 감각의 경계이자 통로다. 변태와 탈피를 반복하는 피부는 끊임없이 변홯는 신체의 표면성을 상징하며, 피부를 통한 촉감은 다른 감각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 기능한다.
그는 "여러 문화권에서 북은 가시적인 세계와 비가시적인 세계, 육치와 정신을 매개하는 도구가 됐다. 이 오브제들은 단순한 악기를 넘어 시간의 그릇이자 고대의 신체적인 기억과 비물질화된 현재 사이의 긴장을 담는 저장소"라고 말했다.
퍼포먼스를 함께 선보이지만, 이번 아라리오갤러리에서는 퍼포먼스는 과감하게 생략했다. 그는 "퍼포먼스 작업을 안 한 경우가 드문데, 이번에는 관람객들이 퍼포먼스 없이 작품을 어떻게 관람할 수 있을지 고민을 했다. 연주가 있어야 신체감각이 작동한느데, 이번에는 그 오브제를 메트로놈으로 바꾸었다. 메트로놈이 연주자로 작용한 작품을 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구지윤 작가와 요한한 작가의 각기 다른 전시는 23일부터 6월 7일까지 열린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