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단 40주년 맞아 여덟 번째 시집 펴내
산문시 형식을 통해 쉽고 친근하게 그려낸 세상
현대 사회의 아이러니와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희망이 싸졌다. 십여 년 전부터 공급이 넘치기 시작하더니 가격이 폭락했다. 백화점 명품 코너에서 VIP 고객에게만 밀거래하듯 판 적도 있었는데, 이젠 동네 마트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고 했다. 들리는 말로는 희망을 생산하던 지식 엘리트들의 담합이 깨졌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방송에 나와 떠드는 자칭 전문가에 의하면 원래 효과가 미미한 것이었는데 드디어 소비자들에게 그 정체가 들통났기 때문이라고도 했다. …중략… 속이 무르고 색깔이 변했는데, 우리나라 썩은 희망과 비슷해 보였다. 그냥 버려야 하나, 준 이를 생각해 잠시라도 보관해야 하나, 걱정으로 잠이 오지 않았다. 희망이 조금씩 조금씩 절망으로 변질돼갔다. 세상 썩는 냄새가 고약했다.' - '희망이라는 절망' 일부.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정한용 시집 '희망이라는 절망'. [사진 = 청색종이] 2025.04.21 oks34@newspim.com |
정한용 시인이 등단 40주년을 맞아 여덟 번째 시집 '희망이라는 절망'(청색종이)을 펴냈다. 이번 시집에서는 산문시라는 형식을 통해 현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인간 존재의 본질을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시인은 제목부터 예고하듯 '희망'이라는 단어가 오늘날 어떻게 값싸게 유통되고 있는지를 폭로한다. 그리고 이면의 절망을 날카롭게 응시한다.
첫 시 '꿈에서 시를 쓰다'는 시 쓰기의 본질적 감각을 보여주는 시편이다. 꿈속에서 완성한 여섯 줄짜리 시, 그 시를 듣고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는 장면은 시의 감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그 시는 현실로 돌아왔을 때 재현되지 않는다. "겨우 여섯 줄인데, 세상을 뒤집어 놓을 걸작인데"라는 문장은 언어의 무력감과 창작의 고통, 그리고 상실의 감각을 환기시킨다.
이 시집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시인이 절망을 정면에서 마주하면서도 유머를 통해 그것을 견디는 독특한 시적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이다. 이 유머는 단지 익살스러운 장면이 아니라, 절망을 인식하고 언어화하는 방식의 일부다. 시인은 절망의 감정을 해체하고, 그 틈새에서 시적 진실을 길어 올린다.
정한용 시인은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으로 문단에 나왔으며, 1985년 '시운동' 동인지를 통해 시인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얼굴 없는 사람과의 약속', '슬픈 산타 페', '거짓말의 탄생', '천 년 동안 내리는 비' 등 여러 권의 시집을 발표했다. 그의 시는 존재의 부조리와 세계의 불합리함을 정면으로 응시하면서도, 그 속에 숨겨진 감정의 층위를 섬세하게 드러내며 문학적 지평을 확장해왔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