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6일 KF-16 전투기 2대 포천 오폭 이어
4월 18일 KA-1 공중공격통제기 부품 추락
초대형 사고 우려 연이어 발생해 점검 화급
선제적·예방적 차원 자체점검 필요해 보여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대한민국 영공을 지키는 정예 공군이 지난 3월 6일 포천 민가 오폭이라는 창군 이래 초대형 안전사고가 난 지 43일 만에 또 항공기 부품이 추락하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포천 민가 오폭 사고의 조사와 여파가 아직도 마무리되지 못한 가운데 하마터면 초대형 사고로 이어질 뻔한 항공기 부품이 떨어져 나가는 안전사고가 또다시 발생했다.
최첨단 엘리트 기술군으로 평가받는 공군에서 연이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전반적인 안전 진단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 |
공군은 18일 강원도 평창군 상공에서 야간훈련 중이던 공군 8전투비행단 원주기지 소속 KA-1의 기총 포드(gunpod) 2개와 빈 연료탱크 2개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사고 기종인 공군의 KA-1 공중공격통제기. [사진=국방일보] |
윤석열정부 들어 북한의 미사일 무력시위 급증과 무인기 침투, 쓰레기·오물 대남 풍선 대량 살포, 최전방 북한군 활동 증가, 최근 대형 산불 발생 등으로 공군을 비롯해 육군·해군·해병대까지 다소 피로가 누적되고 안전이 자칫 소홀해지지 않았는지 전반적이고 선제적인 사고 예방 차원의 자체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공군 전투기의 경기도 포천 민가 오폭 사고는 대형 인명 사고가 발생하지 않아서 그나마 다행이었다. 하지만 민간인 중상자 2명을 포함해 민간인 24명과 군인 14명을 합쳐 모두 3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번 KA-1 공중공격통제기 부품 탈락 사고도 만일 도심이나 인구 밀집 지역, 시설물에 떨어졌다면 대형 사고가 날 뻔 했다.
강원도 평창군 상공에서 4월 18일 밤 야간훈련 중이던 공군 8전투비행단 원주기지 소속 KA-1의 기총 포드(gunpod) 2개와 빈 연료탱크 2개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기총 포드는 기관총을 탑재하는 케이스다. 내장됐던 기관총과 12.7㎜ 실탄 500발이 함께 떨어졌다. 사고 당시 기관총 1정에 250발씩 적재된 상태였다.
연료탱크는 평소 비어 있는 상태로 장착해 뒀다가 필요 때 연료를 채우는 방식이어서 이번에는 비어 있었다.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6일 오전 경기 포천시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2025년 전반기 한미연합 수도기계화보병사단(수기사)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에서 KF-16이 기동하고 있다. 2025.03.06 mironj19@newspim.com |
공군은 지난 3월 6일 오전 10시 4분께 KF-16 전투기 2대가 공대지 폭탄 MK-82 4발씩 모두 8발을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지역에 오폭하는 초대형 사고를 냈다.
한미 공군은 현재 4월 17일부터 5월 2일까지 일정으로 대규모 연합 공중 '프리덤 플래그' 훈련을 하고 있다.
한미 공군의 전투기와 공중공격통제기, 전자전기, 공중조기경보기, 무인기, 수송기, 공중급유기까지 공중전력 90여 대, 작전·지원 요원 1100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훈련을 하고 있다.
KA-1 공중공격통제기는 KT-1 기본훈련기를 바탕으로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연구개발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생산한 국내 첫 개발 무장형 항공기다.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 양산돼 2006년 10월 실전 배치됐다. KA-1은 항법과 항전 전자 장비, 파일런, 외부 연료탱크, 로켓발사관(LAU-131), 12.7㎜ 기관총을 장착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