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1 노후화로 대체차량 도입 필요...5조원 재정 방안 모색"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코레일은 지난 11일 국회 세미나실에서 '기대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KTX-1 대체차량 도입의 시급성과 이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토교통위원회 맹성규 위원장을 비롯해 윤영석 의원, 문진석 의원, 권영진 의원, 손명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윤재옥 의원, 나경원 의원, 이인선 의원과 정부, 학계, 산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 |
국회 세미나실에서 열린 'KTX-1 대체차량 도입 및 정부의 재정지원 방안' 정책토론회. [사진=코레일] 2025.02.12 gyun507@newspim.com |
발제를 맡은 이진우 KAIST 교수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운행한 지 20년이 지난 KTX-1의 교체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2004년 도입된 KTX-1 46편성은 2024년 10월 기준 전체 고속철도 여객 수송량의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
시속 300km 이상으로 달리는 고속열차는 제작 결정부터 실제 운행까지 약 10년 가량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안정적 교통 서비스와 국민 이동권 보장을 위한 조속한 교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KTX-1 차량의 노후화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나 서비스 저하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국민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나아가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논의는 대체차량 도입 과정에서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정부와 공공부문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됐다.
특히, KTX-1 대체차량 도입에 필요한 약 5조 원의 예산 확보에 대한 정부와 철도공사 간 재정적 협력이 강조됐다.
또, 해외사례를 참고해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도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