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터미널→깨끗·안전한 터미널 '탈바꿈'
[포천=뉴스핌] 신선호 기자=20년간 시민의 발로 큰 역할을 포천공영버스터미널(이하 포천버스터미널)이 포천의 랜드마크로 거듭났다. 낙후된 시설과 좁은 부지 대신 안전한 터미널로 새롭게 조성됐다.
![]() |
기존 공영버스터미널 전경. [사진=포천시] |
![]() |
기존 공영버스터미널 매표소 모습. [사진=포천시] |
포천시는 기존의 준공된 터미널을 철거하고 새롭게 단장해 시민에게 쾌적한 쉼터를 제공하고, 도시 미관을 개선했다.
포천버스터미널은 포천 중심에 위치한 거점 교통 시설로, 오랜 시간 노후화된 건축물과 열악한 인프라로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시 역점사업으로 포천터미널 공원화사업을 추진해 교통시설과 공원을 연계함으로써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했다.
새![]() |
새롭게 조성된 포천공영터미널 모습. [사진=포천시] |
포천버스터미널은 지난 1월 20일 개통해 현재 정상 운영 중이다. 365일 연중무휴 24시간 개방되어 언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미널은 이용객 친화적으로 설계됐으며, 대합실에는 냉난방시설이 갖춰지고 자연광이 들어와 항상 쾌적하다.
이용객들은 설치된 LED 모니터로 터미널에 들어오는 모든 시외버스 운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승차권은 매표소와 승차권 자동발매기(키오스크)를 통해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이용이 어려운 경우 호출벨을 누르면 도우미를 통해 발권할 수 있다.
![]() |
새롭게 조성된 포천공영버스터미널 전경. [사진=포천시] |
터미널 설계에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적용됐으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배리어프리) 인증을 추진 중이다.
장애인을 위한 이동 편의성을 고려하고, 점자 안내판, 점자블록, 장애인 화장실 등이 설치됐다. 앞으로 수유실과 임산부 휴게실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 |
새롭게 조성된 포천공영버스터미널 시간표. [사진=포천시] |
추후 매점 및 상가 등 근린생활시설이 입점될 예정이며, 정보검색코너와 수화물 보관소 등 이용객 편의시설이 조성된다. 승객이 머무는 대합실에는 포천을 알리는 포천시 홍보관도 운영될 예정이다.
터미널 외부에는 잔디광장과 아름다운 공원이 조성됐다. 공원에는 벤치와 정자, 쿨링포그가 설치돼 시민들이 편안하게 쉬어갈 수 있도록 했다.
현재 포천버스터미널은 상·하행선 두 개로 나눠 운행된다. 상행선의 주요 노선은 동서울, 경부, 의정부, 인천공항이며, 하행선은 와수리, 동송, 운천, 신철원이다. 노선버스는 3000번, 3001번, 3002번, 7600번이 있으며 각각 상행선, 하행선을 오가며 상시 운행된다.
3000번 버스는 동서울에서 출발해 포천을 거쳐 신북, 양문, 운천, 강포리, 신철원까지 운행한다. 3001번 버스는 각각 의정부, 동송에서 출발해 포천을 왕복하고, 3002번은 동서울, 와수리에서 출발해 포천을 경유한다. 7600번은 동송, 인천공항에서 출발해 포천을 왕복한다.
![]() |
새롭게 단장된 포천공영버스터미널 원경. [사진=포천시] |
포천버스터미널의 첫 차는 새벽 5시 30분에 출발하는 인천공항행 7600번 버스로, 인천공항 이용 편의를 높이고 있다. 기본 성인 요금에서 청소년은 30%, 어린이는 50%까지 할인된 요금으로 탑승할 수 있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새롭게 단장한 포천공영버스터미널은 포천의 관문이자 첫인상"이라며, "앞으로도 시민 교통 편의를 보장하고 동시에 안전한 쉼터이자 공원 기능을 한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천시는 시민이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포천버스터미널 운영을 통해 대중교통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고, 이용객 편의 증대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는 물론 지역 이미지 개선과 원도심 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