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여파에 경기 전반 '냉기'…내수 침체 장기화
작년 소매판매 -2.2%…21년 만에 최대 낙폭 기록
정치 갈등에 혼란 여전…정부 차원 경기 부양 시급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이달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유독 주목도가 높았던 이유는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가 경기 지표에 반영됐을 것이란 관측 때문이다.
실제 받아든 결과는 예상보다 더 참담했다. 지난 3일 통계청이 공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월과 비교해 0.6% 줄었다. 지난해 9월(-0.3%)과 10월(-0.7%) 감소한 뒤 11월(0.0%)에는 보합을 나타냈으나, 한 달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김기랑 경제부 기자 |
지난해 1년간 내수 부진이 이어져 온 가운데, 특히 12월에 큰 폭의 낙차를 기록하며 연간 소매판매가 2.2% 감소했다. 이는 2003년(-3.2%) '신용카드 대란' 이후 최대 규모다. 당시 신용카드사들은 경쟁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서면서 신용도가 낮은 사람에게까지 신용카드를 발급해 연체율과 부실화를 초래했다.
소매판매 부진은 최근 몇 년간 연간 수치를 기준으로 보면 더욱 심각하다. 연간 소매판매는 2022년(-0.3%)과 2023년(-1.5%)에 이어 지난해(-2.2%)까지 3년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연간 소매판매 지수가 3년 연속으로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5년 이래 처음이다.
장기화 추세인 내수 부진 속 12월 소매판매가 유독 고전을 면치 못했던 이유는 비상계엄 사태가 경기 전반을 얼어붙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송년회와 신년회 등 각종 모임이 활성화되는 연말연시에 불쑥 터져 나온 계엄 사태는 '연말 특수'를 노렸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기대감을 무력하게 만들었다.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여행 위험 국가로 지정된 탓에 관광 산업 전반과 숙박업체 등도 움츠러들었다.
올해 전망도 어둡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 동향(그린북) 1월호'에서 우리 경제에 대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고용이 둔화되고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그린북에서는 매달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과 '경기 회복 흐름 지속' 등의 낙관적인 표현을 담았지만, 이번 1월호에는 이런 표현을 일절 찾아보기 힘들었다.
가뜩이나 어려운 여건 속에서 출발한 올해 우리 경제에 더해진 비상계엄 청구서는 경기 전반에 우울감을 드리우고 있다. 정부 차원의 총력적인 대응이 시급한 상황임에도 탄핵 심판과 헌법재판관 임명, 추가경정예산 등 여러 사안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아직 봉합되지 않은 탓에 쉽사리 집중도가 모이지 않는 모습이다. 현재 정부와 국회의 시선은 총체적 위기임이 분명한 우리 경제 상황을 다소 비껴나가 있다.
올해에도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은 이미 깊어진 내수 부진의 골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내내 소비 절벽에 시름하다 연말 특수까지 놓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 올해 또 다시 생계 위기가 들이닥치지 않도록 정부의 대책 마련이 절실한 때다. 언제나 피해는 가장 낮은 곳부터 먼저 찾아든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