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机遇中国·好品东营" 纽斯频通讯社记者感受东营独特魅力

기사입력 : 2024년10월15일 10:34

최종수정 : 2024년10월16일 09:41

纽斯频通讯社首尔10月15日电(记者 崔宪圭,编译 记者 周钰涵)近来,韩国与中国交流在民间或政府层面逐渐得到改善,与韩国交流最为活跃的山东省主要城市也加大推介力度。

山东省人口过亿,以经济规模聚首的青岛为中心,包括省会济南、烟台、临沂和东营等都在今年集中力量吸引韩国企业投资高科技领域,并努力恢复旅游、电商等交流。

韩国纽斯频(NEWSPIM)通讯社中国本部记者崔宪圭参加了为采访当地经济、社会和旅游领域而组织的"机遇中国·好品东营"采风团,于10日起对山东省东营市进行为期三天的考察。

东营大闸蟹。【图片=记者 崔宪圭 摄】

东营市位于渤海湾沿岸,人口约220万。虽然相较于青岛和烟台,东营在韩国的知名度较低,但其丰富的自然资源、悠久的文化、优美的生态环境以及利用黄河入海口优势发展的农业、畜牧业和渔业,使其具备了不亚于其他城市的独特魅力。

从首尔前往东营,需先搭乘飞机抵达济南国际机场或青岛机场,然后再乘坐长途客车或火车。乘客车从济南出发,向东行驶大约三个小时即可抵达东营。

◆黄河赐予的珍宝——大闸蟹

东营市位于黄河入海口的黄河三角洲地区,是黄河流入大海的城市。可以说,这里就像是韩国汉江和临津江汇入西海的江华岛。

黄色的黄河水与蓝色的大海交汇,因此被称为"黄蓝交汇"。虽然如今的黄河入海口位于东营市境内,但由于黄河多次改道,这一地点在历史上曾多次变更。黄河自青藏高原一路东流,全长5464公里,其中有138公里流经东营市。

东营大闸蟹产业园内的惠泽集团。【图片=记者 崔宪圭 摄】

黄河被中国称为"母亲河",孕育了丰富的农业、畜牧业和水产资源,也蕴藏了无数的旅游资源。东营市境内的黄河为当地居民带来了"黄蓝交汇"这一独一无二的旅游胜地,以及黄河口大闸蟹和黄河口滩羊等美味佳肴。

大闸蟹园区内民众正在捆绑大闸蟹并给其贴标签。【图片=记者 崔宪圭 摄】

东营市的黄河口大闸蟹在中国各类淡水蟹中,与阳澄湖大闸蟹齐名。中国民间甚至流传着"南有阳澄湖大闸蟹,北有黄河口大闸蟹"的说法。黄河水流经垦利县东北部,与渤海湾的海水相汇。这里正是东营市黄河口大闸蟹养殖的中心地区,地处北纬37度附近,地理和生态环境非常适合淡水蟹的养殖。

新鲜的大闸蟹准备发往中国各地。【图片=记者 崔宪圭 摄】

作为东营市媒体考察团成员,纽斯频通讯社记者在11日的首个参观行程中,前往东营市的"垦利县黄河口大闸蟹产业园",详细了解了黄河口大闸蟹的生态、研究所及智能养殖的各个方面。

东营市媒体负责人介绍说,每年有大量黄河带来的泥沙以每年3公里的速度流入渤海湾。垦利县是黄河口大闸蟹的最大养殖基地。通过泥沙的沉积,形成了新的湿地生态资源和土地资源,大闸蟹在淡水和海水交汇的地方繁殖生长。

◆东营:蓬勃发展的黄河三角洲城市

11日,记者在黄河口大闸蟹产业园附近的餐厅品尝了秋季黄河口大闸蟹。大闸蟹肉质鲜美,蟹膏金黄饱满。 产业园的导游介绍说,黄河口大闸蟹不仅美味,还富含矿物质和丰富的营养,早在古代就因药用价值受到欢迎。

在产业园的展览馆中,展示了"黄河口大闸蟹自古以来被广泛用作药材,《本草纲目》对其药效有很高评价"的信息。垦利县淡水蟹产业园总面积约6000亩,运营着标准化的养殖场,每年生产约400吨优质淡水蟹,创造了4500万人民币的附加值。 

东营大闸蟹养殖基地。【图片=记者 崔宪圭 摄】

据产业园负责人介绍,黄河口大闸蟹的生长期为15到18个月,在生长过程中形成了青背、白肚、金爪、黄毛的特点,重量达到150克左右即可上市。他还表示,黄河口大闸蟹富含其他鱼类无法比拟的维生素,并且品牌通过严格的产品标准管理,受到地方政府注册保护。 

垦利县的黄河口大闸蟹因其知名度,价格也较高。根据产地价格,每斤售价在韩币1.4万到2万韩元之间,以中国物价水平来看并不便宜。

东营市垦利县从1992年起大规模人工养殖大闸蟹。在疫情前的2017年,东营市的黄河口大闸蟹年产量超过6000吨,比十年前几乎翻了一倍,总产值超6亿元人民币,品牌价值达到16亿元人民币。 

美味大闸蟹料理。【图片=记者 崔宪圭 摄】

垦利县充分利用黄河口的地域特色,将淡水蟹产业作为重点产业进行培育,尤其通过规模化养殖、品种培育、质量提升和品牌建设,将黄河口的淡水蟹打造成全国性的成功商业品牌。

东营市黄河口大闸蟹凭借国际标准的养殖和加工技术,以其优质产品在市场上确立了坚实的品牌地位。黄河口大闸蟹产业园不仅提高了农民收入,还带动了农村的经济发展,成为中国智慧农业和渔业的成功区域经济共同发展模式。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