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오늘 A주] 6거래일만에 반등...리튬주 폭등 "가격 바닥 쳤다"

기사입력 : 2024년06월26일 16:37

최종수정 : 2024년06월26일 16:37

상하이종합지수 2972.53(+22.53, +0.76%)
선전성분지수 8987.30(+137.01, +1.55%)
촹예반지수 1730.64(+30.62, +1.80%)
커촹반50지수 729.64(+11.89, +1.66%)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26일 중국 증시는 6거래일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증시는 오전장에도 하락을 면치 못했지만, 오후장 들어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반등에 성공했고, 장 막판에 상승탄력이 붙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76% 상승한 2972.53, 선전성분지수는 1.55% 상승한 8987.30, 촹예반지수는 1.80% 상승한 1730.64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중국의 금융기관인 중신젠터우(中信建投)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최근들이 날카로운 하락세가 펼쳐졌지만, 전체적으로 시장을 너무 비관할 필요는 없고, 중국 당국의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지속해가는지를 주목해야 한다"며 "부양책이 속속 현실화되고 있으며, 다음달 개최될 3중전회에서 대대적인 개혁조치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주가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특징주로는, 리튬주가 대거 상승했다. 톈리리넝(天力鋰能)은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대형주인
간펑리예(贛鋒鋰業)는 7.59%, 톈치리예(天齊鋰業)는 6.84%, 성신리넝(盛新鋰能)은 5.74% 상승했다.

이날 중국의 탄산리튬 선물가격은 5.11% 상승했고, 톤당 9만2000위안선을 회복했다. 동방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차전지주 및 리튬주의 악재가 최근 소진됐으며, 주가는 바닥을 찍고 회복할 것"이라며 "가격 상승 혹은 판매량 증가 등의 호재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방증권은 "리스크 요인보다 기회요인이 더 큰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궈타이쥔안(國泰君安) 증권 역시 이날 "리튬 수요 측면에서 신에너지 자동차와 ESS(에너지저장장치)가 지속 발전하고 있는 만큼, 업계의 장기적인 추세는 변하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

이날 AI 대형모델 관련주도 대거 상승했다. 당훙커지(當虹科技), 인싸이지퇀(因賽集團), 후이창퉁쉰(會暢通訊)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날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가 오는 7월부터 중국에서의 접속을 차단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오픈AI가 중국 서비스를 차단하는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로써 중국내 AI 대형모델 개발자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한편,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산하 외환거래센터는 이날 달러당 위안화 기준 환율을 7.124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0.0023위안 올린 것으로 위안화 가치로는 0.03% 하락한 것이다.

상하이종합지수 26일 추이 [사진=텐센트증권 캡쳐]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