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만큼 입양 고민하는 서울시
도심 내 입양센터 필요하지만
6곳 불과한 센터…수용 여력 여전히 부족
어린 소형견 위주로 들이는 한계도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유기견 구조의 궁극적인 목표는 가족을 찾아주는 것이지만 매년 구조 유기견 절반가량이 보호소에서 죽음을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나 재난, 사람에 의해 버려진 동물이 제대로 보호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17일 농림축산식품부 '2022년 반려동물 보호 및 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한해 동물보호센터가 구조한 동물은 11만3440마리다. 이 중 3만490마리(26.9%)는 보호센터에서 자연사했고 1만9043마리(16.8%)는 인도적 처리, 즉 안락사로 생을 마감했다.
◆지자체 노력으로 안락사 감소...시설은 여전히 '부족'
최근 일부 지자체에서는 구조된 유기견이 입양되기 전까지 보호하는 입양센터를 확충하고 있다. 이는 제대로 조치를 받지 못한 유기견의 죽음을 방지하고 건강하게 입양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입양센터는 유기견을 구조해서 보호한 후 일정 기간이 넘으면 안락사시키는 보호소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유기견 구조가 결국 가족을 찾아주기 위함인 만큼, 도심에 유기견 입양센터를 만들어 구조부터 입양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서울시 유기동물 입양센터 목록 [자료=서울시] |
일례로 서울시는 마포, 구로, 동대문에 동물복지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직접 운영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지어질 강동센터까지 합하면 총 4곳이다. 구에서 직접 운영하는 입양센터도 3곳(강동리본센터, 서초동물사랑센터, 노원 댕댕하우스)이다.
그중 유기묘만 보호하는 구로센터를 제외하면 유기견 입양센터는 총 6곳으로 집계된다. 이 같은 지자체의 노력으로 지난 2019년 20.4%에 달했던 안락사율은 지난해 12%까지 떨어졌다.
지자체 시설만으로는 유기견 수용이 충분치 않다. 서울시와 자치구에서 권역별로 센터를 마련했다고 하지만 좁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보호동물 수의 한계는 명확하다.
지자체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에 개소한 동대문구 동물복지지원센터는 2층 규모로 총면적은 167평(552㎡)이다. 현재 서울시 내에서 관리되는 동물센터 중에서도 규모가 큰 편에 속한다. 동대문센터가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유기동물 수는 30여 마리이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유기견 '탐나'가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어질리티룸에서 뛰놀고 있다. 2023.09.13 choipix16@newspim.com |
올해 2월 기준으로 마포 동물복지지원센터는 22마리, 강동리본센터는 11마리, 서초동물사랑센터는 7마리, 노원 댕댕하우스는 2마리의 개를 보호하고 있다.
서울시와 자치구의 입양 지원센터에서 현재 보호하고 있는 유기견 수는 약 70여 마리에 그친다. 서울시에서 2025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강동 동물복지지원센터에서 수용 가능한 개체수 50마리를 더해도 채 120마리밖에 되지 않는다.
◆'작고 귀여운' 유기견 보호 논란도
문제는 예산과 인식이다. 지자체 예산이 인상되거나 유지될 경우 센터는 그나마 유기견 수용을 늘리거나 조정이 가능하지만 삭감될 경우 운영난에 허덕이게 된다는 것이다.
서울의 한 자치구는 댕댕이 사업에 매년 예산을 중이고 있다. 이 자치구는 2021년 2억 6683만원→ 2022년 1억9709만원 → 2023년 1억7091만원으로 줄였다. 자치구의 지원을 받는 센터는 최소한의 유기견 보호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서울=뉴스핌] 강주희 기자 = 2021.10.27 filter@newspim.com |
한정된 예산 안에서 입양 성과를 올려야 하기 때문에 '작고 귀여운' 유기견만 보호하는 부작용도 생기고 있다.
지난 2022년 10월 서초동물사랑센터는 유기견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음에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수용하지 않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서초구에서 시츄를 구조한 한 시민이 안락사 기한 전까지 센터에 여러 번 보호를 요청했지만, 센터는 "안락사 직전이라도 10살은 안 된다"며 "센터에서 제일 나이 많은 유기견이 5살"이라고 답했다.
유기견 입양센터 사업을 담당하는 한 관계자는 "치료 예산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개를 무한정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입양이 잘 되지 않으면 다음해 예산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작고 어린 유기견을 보호하는 게)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전했다.
hell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