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인상 단행한 농심·빙그레, 1분기 국내 실적 호조
인상 보류한 CJ제일제당·대상은 부진한 성적표
하반기 가공식품·주류 가격 인상 가능성 제기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올해 1분기 성적표를 받은 식품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농심, 빙그레 등 지난해 가격인상을 단행한 업체들은 국내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달성한 반면 CJ제일제당, 대상은 원가부담이 이어지면서 부진한 성적을 냈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농심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6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8% 증가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9% 증가한 8604억원을 기록했고 순이익은 541억원으로 64.1% 늘었다.
특히 미국법인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농심 미국법인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0.1%, 604.1%로 크게 증가했다. 현지 시장에서의 가격인상(평균 9%)과 지난해 4분기 이후 해상운임 안정화 추세 등이 영업이익 증가에 힘을 더했다.
국내시장에서는 가격인상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농심은 지난해 9월 신라면 등 주요 라면 가격을 평균 11.3% 올린 바 있다.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크게 뛰자 제품가격도 올린 것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밀가루, 유지류 등 가격이 잇따라 하락하면서 원가 절감으로 이어졌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의 모습. 2022.07.05 yooksa@newspim.com |
빙그레도 가격인상 효과를 본 업체다. 빙그레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2.7%나 증가했다. 매출액은 2935억원으로 14.8% 증가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빙그레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제품 가격 인상을 연달아 단행했다. 지난해 11월 바나나맛우유를 포함한 유제품 가격을 평균 14% 인상했다. 올해 1월에는 편의점 빙과 가격을 10~12% 인상했고 2월에는 붕어싸만코, 메로나 등 일반소매점 빙과 가격을 평균 20% 올렸다. 우유 원유 가격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 상승분을 등을 반영한 것이다. 여기에 지난 2021년 인수한 자회사 해태아이스크림이 영업 효율화 등 효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것도 실적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가격 인상을 억눌렀던 CJ제일제당과 대상은 1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의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2528억원으로 전년 대비 42.0% 감소했다. 매출액 7조712억원으로 같은 기간 1.3%로 소폭 증가했지만 이익은 뒷걸음질 친 셈이다.
해외식품사업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50% 이상 상승하며 원가부담을 일부 만회했음에도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줄었다. 또 글로벌 축산 시장 불황으로 바이오사업도 지지부진했다.
CJ제일제당은 올 초 가공식품 가격 인상을 계획했다가 철회한 바 있다. 지난 3월 가쓰오우동, 얼큰우동, 찹쌀떡국떡 등의 가공식품과 해찬들 초고추장 등 장류와 조미료 가격을 각각 평균 9.5%, 11.6% 인상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결국 인상 계획을 전면 철회했다. 정부가 식품업체 대상 간담회 자리에서 물가안정을 위해 가격 인상 자제하라고 요청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대상도 시들한 성적을 냈다. 대상의 올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9896억원으로 0.3% 소폭 늘었다. 소재 부문에서 라이신 시장의 판가하락 및 수요 감소로 이익이 줄었고 지난해 상반기 라이신 업황 호조에 따른 기저부담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대상의 경우도 CJ제일제당과 마찬가지로 지난 2월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했지만 서민물가 부담을 이유로 무기한 연기했다. 올 초 '소주 가격 동결'을 선언한 하이트진로의 올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387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3.4% 줄었다.
이처럼 가격인상을 보류한 기업들의 실적 하락이 가시화되면서 하반기 식품업계에 인상 기조가 재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된데다 일부 원자재 품목에서는 여전히 원가부담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사차원에서 원가 절감에 집중하고 있다"며 "불경기로 소비심리 위축이 우려되는 등 하반기 영업 환경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