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보건의료, 에너지환경까지 '바이오경제' 부상
세계 각국 지원책…한국도 적극적 대응 필요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바이오경제는 각각의 섹터를 넘어서 국부를 창출할 수 있는 엔진이 될 것이다. 섹터 중심의 바이오 산업이 이제는 경제 전체의 로드맵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26일 '바이오경제 미래전략 포럼'에서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이와 같이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바이오협회와 한국바이오경제학회가 주관해 진행된 이날 포럼에서는 경제가 바이오 중심으로 재편될 거라는 전제를 토대로 논의가 오고갔다.
바이오경제란 농식품, 보건의료, 에너지환경 등 다양한 산업에 바이오기술을 활용해 유의미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기존 바이오 산업에서는 신약을 개발하는 레드바이오만 부상했다면, 이제는 화이트 바이오와 그린 바이오도 성장할 것이라는 의미다.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2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바이오협회와 한국바이오경제학회가 주관한 '바이오경제 미래전략 포럼'에서는 미래 경제가 바이오로 재편되기에, 레드바이오는 물론 화이트바이오와 그린바이오 등 전 분야에 바이오 기술이 적용될 거라고 내다봤다. 2023.04.26 hello@newspim.com |
바이오경제의 파급력도 크다. 인구 고령화, 신종 질병 확산, 복지 부담 등의 아젠다가 떠오르면서 현재의 디지털 경제 중심 패러다임이 바이오 경제로 이행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날 맥킨지 임정수 파트너는 제약을 넘어 농업, 소비자 분야에서 바이오 혁명이 이뤄진다면 2조에서 4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정치를 내놓기도 했다. 이에 로슈나 노바티스 등 글로벌 대형 제약사 역시 혁신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바이오 경제 육성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 9월과 5월 미국과 중국은 바이오경제 주도권 확보를 위해 육성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달 일본에서는 산업계 단체인 경단련이 정부에 바이오경제를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포럼에서도 국내 정책에 대한 건의가 제기됐다. 대표적으로 조세특례제한법(K칩스법) 개정안을 바이오 의약품 산업 전체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달 본회의에서 통과된 K칩스법 개정안은 국가첨단전략산업 시설 투자액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정책 지원을 받는 분야는 백신에 국한됐다.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26일 열린 '바이오경제 미래전략 포럼'에서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2023.4.26. hello@newspim.com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건설하는 바이오캠퍼스는 수혜를 받지 못하는 셈이다. 박용 삼성바이오로직스 센터장은 "(제2바이오캠퍼스를) 짓는 데 7조5000억원 이상 투자해야 하고, 공장 하나 짓는 데 2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상황에서 도움이 없으면 감가상각 등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센터장은 "미국 바이오행정명령 이후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의 확실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바이오행정명령은 5년 내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최소 25%를 미국에서 생산하는 등 자국에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것을 독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내에서 확실한 지원책이 부재할 경우 국내의 기업들이 해외로 옮겨갈 수 있다.
최성호 한국바이오경제학회 회장은 "산업, 성장, 수출로 이어지는 다이나믹스가 제조업은 물론이고 정보기술 산업과도 다르다. 민간의 연구개발이나 사업투자, 바이오투자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저조하고, 글로벌 진입 장벽도 높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최 회장은 "바이오경제에서는 데이터 활용, 인프라, 글로벌 제휴 규제가 조화를 이루는 게 중요하다"며 "주력산업이나 it산업을 성공한 기반으로 바이오 분야를 집중 육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ell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