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은행주, 펀더멘탈 회복 기대"
증권주, 거래감소·금융당국 조사 등 악재
[서울=뉴스핌] 유명환 기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하면서 대표적인 금리인상 수혜주로 꼽히는 은행주의 향후 주가 추이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반면 금리인상이 증시 자금 유입에는 악재로 작용하는 만큼 증권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시간 기준 5일 오전 기준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금리 인상 가능성 [사진=CME그룹 데이터] 2022.09.05 kwonjiun@newspim.com |
◆ 은행株, 연초 대비 30%가량 하락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은행 지수(6일 종기 기준)는 연초 대비 약 30% 하락한 582.16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 기간 KRX300과 코스피 지수가 각각 4.09%, 5.07%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낙폭이 컸다. 하반기 들어 코스피 지수가 2500선을 회복하는 등 반등장이 연출됐지만 은행주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했다. KB금융과 신한‧하나금융지주‧기업은행 등 은행주는 한국은행이 '빅스텝(단번에 0.0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했던 지난달 15일 52주 신저가도 새로 썼다.
은행주의 하락세는 경기 침체 우려와 더불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올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하면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은행주는 통상 금리 인상 수혜주로 꼽힌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대출금리 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실적 개선이 어려워졌다. 특히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 간 차이) 공개 제도가 부담으로 작용되면서 순이자마진(NIM) 개선이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예대금리차는 하락했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2.38%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하락했다. 예대금리차가 좁혀진 건 은행간 금리 경쟁으로 예·적금 금리가 상승해서다. 7월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2.93%로 한 달 새 0.52% 급등해 2013년 2월(2.94%) 이후 9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권업계는 금융종목 주가가 회복세로 돌아서면 양호한 펀더멘털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점차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과정이라는 설명이다.
구경회 SK증권 연구원은 "투자자들의 키 포인트가 NIM에서 자산건전성으로 이동했고 경기둔화로 인한 대손비용 증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지난 2008~2010년보다 훨씬 양호할 것"이라며 "과거 경험상 경기 둔화 사이클에 강했던 우량 은행주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 금리 인상에 침울한 증권주
반면 증권주에 대해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통상 금리인상은 투자 자금 마련에 부담을 줘 증시 유동성을 줄일 수 있는 만큼 증권주에는 악재로 꼽힌다.
지난 6월 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발표한 직후 국내 증시는 휘청거렸다. 증권 대장주인 미래에셋증권의 25일 종가는 6570원으로 지난 5월31일 종가(8160원) 대비 19.49% 하락했다. NH투자증권(1만800원→9890원), 한국투자증권(한국금융지주·7만1600원→5만8200원), 삼성증권(3만9650원→3만4100원) 등 주요 증권사들의 주가도 일제히 내림세를 보였다.
투자 환경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수익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증권사들은 증시 상황이 실적과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실제 올해 상반기 증권사 10곳(미래에셋·NH투자·한국투자·삼성·KB·하나·메리츠·키움·대신증권·신한금융투자)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4조6656억원)보다 42% 감소한 2조6866억원을 기록했다.
연초 이후 계속되는 긴축과 경기 침체 우려 속에 주식시장 거래대금이 급감한 탓이다. 올해 상반기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18조47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0조1370억원)보다 38.7% 감소했다.
금리 상승으로 증권사가 보유한 채권 평가 손실이 불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반대로 하락한다. 국채 3년물 금리는 지난 6월 17일 3.745%까지 오르면서 10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권업계는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유출로 인해 국내 증시가 약세가 지속될 경우 증권사들의 실적도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홍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부진한 브로커리지 지표가 이어지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축 등으로 기업금융(IB)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며 "2분기에 비해서는 채권 평가 손실 영향이 축소되겠지만 연준의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언급되는 등 금리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추세적 상승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도 "채권 평가 손실 부담 완화로 증권사들의 3분기 실적은 2분기보다는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모멘텀 측면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담과 경기 우려가 지속되는 한 금리 변동성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ymh753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