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지당 최대 5억원 국비 지원
안전·소방·복지·에너지·교통 문제 해결 기대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1. 경북 성주군은 매년 폭염일수가 늘고 최고기온이 오르고 있으나 성주 전통시장 앞 시장길은 좁은 일방통행로와 불법주정차로 인해 살수차 운행에 어려움이 크다.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스테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클린로드는 환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도로 살수장치가 작동해 열섬현상을 완화한다. 살수차에 비해 살수 주기도 단축되고 연간 상시 운영이 가능해 미세먼지 등 도로청소에도 활용될 수 있다.
#2. 서울 서대문구 경기대로 인근은 주요 통학로이면서 대형 도로 이면에 위치해 있어 우회차량이 많다. 그럼에도 신호등이 없어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다. 지능형 CCTV와 속도위반 경보장치를 도입해 스마트 안심 보행 서비스를 구축했다. 과속차량과 사각지대 보행자 접근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전광판에 표출해 운전자들의 안전한 운행을 유도한다.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서 주민들의 생활 문제를 스마트기술을 활용해 해결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주민체감도가 높고 상용화가 쉬운 스마트기술을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적용하는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대상지 15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자료=국토교통부] |
이 사업은 지난해부터 새롭게 추진해 온 사업으로 사업지당 최대 5억원의 국비가 지원되며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재생사업의 매칭 비율에 따라 사업비의 40~60%를 부담한다.
사업 대상지 공모는 지난달 17~19일까지 총 26곳이 신청했다. 주민 의견수렴 및 필요성·타당성·실현가능성·효과성을 평가해 사업계획이 구체적이고 신속 추진이 가능한 사업지 15곳을 선정했다. 후보지에는 ▲서울 서대문구 ▲대구 달서구·동구 ▲인천 동구·중구 ▲경기 광명 ▲충남 서산·천안 ▲전북 김제·전주·정읍 ▲경북 경주·성주 ▲경남 고성 ▲제주 서귀포 등이 선정됐다.
최종 선정된 15곳의 사업지에는 5월부터 국비가 지원돼 사업이 본격 착수될 예정이다. 이번 지원사업으로 ▲안전·소방 ▲생활·복지 ▲에너지·환경 ▲교통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서비스를 활용해 지역 내 현안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상민 국토부 도심재생과장은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스마트솔루션을 접목해 지역 내 문제해결에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선정 후에도 지자체와 긴밀히 소통해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