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정치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 3400만명 돌파...사망 102만1763명

기사입력 : 2020년10월02일 14:14

최종수정 : 2020년10월02일 14:14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공식 확진자 수가 3400만명을 돌파했다. 사망자 수도 102만명을 넘어섰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2일 오후 12시 33분 기준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는 3420만5778명, 사망자 수는 102만1763명으로 집계됐다.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727만7804명 ▲인도 631만2584명 ▲브라질 484만7092명 ▲러시아 117만9634명 ▲콜롬비아 83만5339명 ▲페루 81만4829명 ▲스페인 77만8607명 ▲아르헨티나 76만5002명 ▲멕시코 74만8315명 ▲남아프리카공화국 67만6084명 등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사망자는 ▲미국 20만7789명 ▲브라질 14만3952명 ▲인도 9만8678명 ▲멕시코 7만8078명 ▲영국 4만2292명 ▲이탈리아 3만5918명 ▲페루 3만2463명 ▲프랑스 3만2034명 ▲스페인 3만1973명 ▲이란 2만6380명 등으로 보고됐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 현황 [사진=존스홉킨스]

◆ 일본, 신규 확진 637명...누적 8만5047명

1일 일본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37명 발생했다. 일본의 하루 확진자 수가 600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6일에 이어 5일 만이다.

도쿄(東京)에서는 신규 확진자가 235명 확인됐다. 이밖에 오사카(大阪)부에서 76명, 가나가와(神奈川)현 79명, 아이치(愛知)현 21명, 후쿠오카(福岡)현 4명, 사이타마(埼玉)현 33명, 지바(千葉)현에서 38명의 신규 확진자가 확인됐다.

이로써 2일 0시 현재 일본 내 누적 확진자 수는 8만5047명으로 늘어났다. ▲일본 국내 확진자(전세기 귀국자, 공항 검역 등 포함) 8만4335명 ▲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712명을 더한 것으로, NHK가 공개한 각 지자체 확진자 수를 취합한 수치다.

사망자는 오사카부에서 3명, 가나가와현에서 2명, 도쿄도와 후쿠오카현, 교토(京都)부에서 1명씩 모두 8명이 발생됐다. 일본 내 누적 사망자 수는 1596명으로 늘어났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 13명 ▲일본 내 확진자 1583명이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많은 인파로 붐비는 도쿄의 전철역 모습. 2020.09.11 goldendog@newspim.com

◆ 코로나19 확산에 마드리드 봉쇄...국제유가 4%대 급락

국제유가가 코로나 19 재확산에 따라 마드리드가 부분 셧다운(봉쇄)되면서 급락했다.

1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11월 인도분 선물은 전일대비 1.5달러(3.7%) 급락한 배럴당 38.72달러를 기록했다. 영국 북해산 브렌트유 12월물은 1.37달러(3.2%) 내린 배럴당 39.92달러를 나타냈다. 모두 지난달 15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재확산은 유럽 국가에서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스페인 정부가 전일 수도 마드리드와 인근 지역에 봉쇄조치를 명령해 출퇴근과 병원 진료, 생필품 쇼핑 등 필수적인 경우 외에는 이동을 제한했다. 놀이터와 공원 등도 폐쇄되며, 6명 이상 모임도 허용되지 않는다.

영국 역시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에서도 720만명 이상이 감염됐고 20만명 이상이 사망했다.

타마스 바가 PVM 오일 분석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감염률이 증가됐고, 전 세계 사망자수가 100만명을 넘어서면서 다시 유가 급락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진단했다.

스탠다드차타드는 전 세계 원유 수요가 올해 930만배럴 감소하고, 내년에는 557만 배럴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2021년 평균 수요는 2016년보다 약간 낮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원유 저장 시설 [사진=로이터 뉴스핌]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