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제 대비해 위안화 결제 시스템 마련 필요
러시아 사례 반면교사해야 한다고 강조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금융 감독기관의 고위급 관료가 미·중 디커플링 추세 및 미국 제제에 대비해 위안화 국제화에 박차를 가해야한다는 주장을 내놔 주목을 받고 있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팡싱하이(方星海) 증감회 부주석은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이 주최한 포럼에서 '중국은 달러 결제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고, 미국의 제제에 취약하다'라며 '중국이 달러 결제 배제와 같은 미국발 금융 제제에 대비해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팡 부주석은 그러면서 러시아 기업과 금융기관의 사례를 '반면교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미국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 이후 러시아 기업을 겨냥해 금융 제제를 실시한 바 있다.
[사진=셔터스톡] |
이 같은 팡 부주석의 발언은 미국이 달러 중심의 국제 결제 시스템을 활용해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및 홍콩 문제와 연루된 중국 개인 및 기업을 제제하겠다는 상황 속에서 나온 것으로 더욱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팡 부주석의 견해는 중국 지도부가 미국의 금융 제제를 현실적인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고, 미국 달러 결제가 막힐 경우 기업의 해외 사업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SCMP는 미국이 지난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 후 금융 제제와 같은 수준의 조치를 중국에 적용될 가능성은 낮다고 봤지만 미·중간 금융 디커플링 추세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미국은 뉴욕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에 대한 심의를 강화하고 있고, 이에 대응해 중국 기술 기업들은 홍콩 2차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다 미국 연준(FRB)의 양적 완화 추이에 따른 미 달러화 가치의 불확실성 증폭도 중국 당국이 우려하는 부분이다.
현재 중국의 해외 자산은 주로 미 달러로 구성돼 있고 2조 달러에 이른다. 대부분 선진국에 분포해 있다. 이중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규모는 1조 7700억 달러에 달한다.
이 같은 외부 금융 리스크 증폭에 대해 '위안화 국제화'가 해결책으로 제시됐다. 팡 부주석은 '해외 자산이 위안화로 구성돼 있다면 미 달러화 절하에 따른 자산 가치 축소와 같은 현상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라고 설명했다.
중국 위안화는 지난 2016년 10월부터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Special Drawing Right)에 포함되는 등 지난 10년간 중국 당국은 위안화의 기축 통화로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다만 중국 당국의 노력에도 국제 결제 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상황이다.
국제금융통신망(SWIFT) 자료에 따르면 중국 위안화의 5월 국제 결제 비중은 1.79%(세계 6위)로, 미 달러(40.88%), 유로(32.9%), 엔화(3.53%)의 비중을 크게 밑돌았다.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