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기술반환으로 차입금 확대
[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한국신용평가가 한미약품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단계 강등했다. 잇따른 기술반환에 따른 사업 불확실성과 차입금 부담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29일 한신평에 따르면 평가사는 지난 27일 정기평가를 통해 한미약품의 무보증사채 신용도를 '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변경했다.
한미약품 본사. [사진=한미약품] |
한신평은 "한미약품이 연이은 기술수출 권리 반환 및 반환통보로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2015~2016년 다수의 기술수출계약을 맺어 매출을 크게 확대했으나, 이후 2016년 베링거인겔하임의 '올무티닙' 권리 반환, 사노피와의 퀀텀프로젝트 계약조건 변경, 작년 일라이릴리와 얀센이 각각 'BTK inhibitor', 'LAPSGLP/GCG'(당뇨/비만 치료제) 권리를 반환했다.
한신평은 이어 "R&D성과가 재투자 재원확보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안착되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성과를 통한 안정적 수익창출구조 확보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한신평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대규모 시설투자와 사노피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금 반환 등으로 차입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연결 순차입금 규모는 2016년 말 45억원에서 올해 3월 말 현재 7582억원으로 증가했다.
한신평은 "기술수출 문제로 인한 기대 현금유입액 감소와 신설 설비 가동지연, 에페글레나타이드 공동연구비 부담 등이 확대된 재무부담 완화의 제약요인이 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lovus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