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수 반등에도 연중 고점 대비 15% 가량 낮아
ELS 가입 시점 따라 조기상환 실패·손실 구간 진입 가능성
"예상된 결과...향후 미중 관계가 지수 향방 좌우 " 전망
[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홍콩의 정치적 자유를 사실상 제한하는 '홍콩 국가보안법'(이하 홍콩보안법)이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된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우려했던 만큼 뚜렷한 반향은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홍콩을 둘러싼 정치적 불안 외에 미국과 중국의 정면대결이 격화될 경우 단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2020.05.28 chk@newspim.com |
중국의 국가의사 결정기관격인 전인대는 28일 오후 '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보를 수호하는 법률제도와 집행기제 수립 및 완비에 관한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초안)'을 표결에 붙여 압도적인 표차로 통과시켰다. 반대는 단 1표에 불과했다.
홍콩보안법은 홍콩에 국가안전을 지키는 법률과 체제를 만들어 국가안전을 해치는 모든 행위와 활동을 제지하고 처벌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는 홍콩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전면적인 감독과 통제가 임박했음을 알리는 것으로 해석돼 세계적인 자본시장 가운데 하나인 홍콩의 위상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홍콩보안법 통과 직후 홍콩지수는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홍콩항셍지수가 -0.80%, 홍콩 H 선물지수가 -1.19% 빠지는 등 가결 이전보다 낙폭을 확대하는 모양새다.
특히 국내 투자자들은 홍콩 H지수(HSCEI)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H지수는 유로 스톡스(EURO STOXX)50지수,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 등과 함께 국내에서 발행된 주가연계증권(ELS)의 주요 기초자산 가운데 하나다.
올초까지만 해도 1만1000선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H지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글로벌 확산과 함께 대규모 조정을 겪었다. 3월19일에는 8500선까지 밀리며 단기간 20%가 넘는 급락세를 겪기도 했다.
문제는 ELS 상품 대부분이 스탭다운 방식으로 구성됐다는 점이다. 통상 ELS(ELB 포함) 상품군 내에서 일반 스텝다운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텝다운형은 정해진 시점마다 주가를 평가해 미리 정해놓은 주가에 도달하면 확정수익을 지급하고 조기상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상환조건을 충족하면 투자원금과 수익이 발생하지만, 미충족시 조기상환 되지 않고, 원금손실 구간을 뜻하는 녹인(Knock-In) 구간에 진입하면 손해를 보게 된다.
만약 현재 9500선에서 거래되는 H지수가 홍콩보안법 악재를 계기로 추가 조정을 겪게 될 경우 고점에서 가입한 투자자들은 손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통상 만기가 3년임을 감안할 때 최근 3년간 고점은 2018년 1월 1만3723.96, 최근 1년간 고점은 올해 1월17일 기록한 1만1419.91이다.
최근 1년새 홍콩 H지수(HSCEI) 추이 [자료=항셍 Index] |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충분히 예견된 이슈인 만큼 홍콩보안법 통과만으로 시장이 크게 요동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홍콩 보안법 문제로 증시 관련 경계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정치적 이슈인 만큼 쉽게 예단할 수 없지만 미국과 중국의 극단적인 진흙탕 싸움으로까지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주장을 반영하듯 전날 사상 최저치까지 하락했던 위안화는 오히려 소폭 반등하며 달러당 7.15위안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국시간 오후 5시16분 기준)
다만 홍콩보안법 사태가 미중 간 정면 대립이라는 최악의 경우로 확장될 경우에는 변동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콩에 대한 미국의 특별지위 박탈 및 홍콩 내 시위 발발에 따른 경제 위축, 자본 유출이 순차적으로 이뤄진다면 당분간 H지수의 디레이팅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박혜란 삼성증권 연구원은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가 해제되면 중국에게는 자금조달 및 중계 무역항으로서 홍콩의 가치가 크게 줄어들 수 밖에 없다"며 "여기에 미국과 서방 국가들의 대중(對中) 경제제재 시행시 실물경제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 역시 "올해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의구김이 확대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며 "양회에 대한 실망감 및 미중 관계 악화로 불확실성이 부각될 경우 단기적으로 본토 및 홍콩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