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확진자 많은 것, 높은 진단 역량·언론 자유·민주주의 덕분"
중국인 입국금지 안 한 것 비판도…"文 정부 정치적 결정"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중국과 한국의 서로 다른 대응 방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초기 대응과 관련해선 양국 모두 과실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한국은 이후 대응 과정에서 정부의 투명성과 시민사회 참여가 결합돼 효과적으로 대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3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미국, 영국, 홍콩 등 세계 각지의 언론과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과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비교·분석을 내놨다.
[베이징 로이터=뉴스핌] 최원진 기자= 중국 베이징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출근시간 길거리를 걷고 있다. 2020.03.09 |
먼저 중국의 초기 대응과 관련해선 중국의 관료적 비밀주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첫 환자가 발생할 당시 중국 당국은 이를 인지하고 연구팀을 파견해 화난수산시장이 발병 근원지임을 밝혀지만, 한 달여 뒤인 지난 1월에서야 감염자 정보를 확인하는 등 초기에 발병 사실을 부인하고 은폐했다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와 관련해 "중국 후베이성과 우한에서 코로나19가 발병한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초, 내부 고발자들에 대한 처벌과 관료적 비밀주의가 바이러스를 증폭시켰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중국은 신종 코로나와의 싸움이 공산당 통치 체제의 강점을 보여준다고 주장하지만, 이를 믿는 것은 수개월 간의 부인과 은폐, 실책을 눈감아 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부에 대한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정보를 통제하고 있다"며 "전염병 발병으로 시진핑 주석과 중국 공산당의 비밀주의가 시험을 받게 됐다"고 비판했다.
한국도 초기 대응과 관련해선 대한의사협회 등이 제안한 중국인입국 금지를 시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외교협회의 스콧 스나이더 선임연구원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초기에 그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문재인 정부의 결정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문재인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과 시 주석의 한국 방문에 대한 기대 때문에 중국인 입국 금지를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많은 추측이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12일 오후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코리아빌딩 앞에서 관계자들이 방역복을 입고 있다. 코리아빌딩은 내부에 위치한 콜센터에서 관련 확진자가 102명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0.03.12 kilroy023@newspim.com |
하지만 코로나19가 발병한 이후 이에 대응한 한국의 개방적이고 투명한 방역체계, 빠른 진단 속도에 대해서는 외신과 전문가들로부터 '놀랍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워싱턴포스트는 최근 '한국은 민주주의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맞서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민주주의 국가가 공중 보건 보호에 더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어떤 면에서는 한국의 확진 사례가 많아 보이겠지만, 이는 한국의 높은 진단 역량과 언론의 자유, 민주적이고 책임있는 체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국 BBC는 "한국의 의료시설들이 수 주 동안 비상대기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가 하루에 두 차례 브리핑을 하는 등 적극적인 대화와 투명한 소통이 지속됐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규모 행사들이 취소되고 교회들이 미사나 예배를 온라인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발병자가 많이 나온 대구 방문을 자제하도록 시민들을 설득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는 코로나19가 처음 확산된 우한을 물리적으로 봉쇄하고 주민들의 외출을 금지시킨 중국 정부의 방법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