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종합] 코로나19 확산에 글로벌 금융시장 '패닉'…"안전도피"

기사입력 : 2020년02월25일 08:29

최종수정 : 2020년02월25일 08:34

글로벌 증시 도미노 '급락'…국채-금 등 안전자산 '인기'
"중국 외 지역 감염 확산에 낙관하던 투자자 불안심리↑"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코로나19(COVID-19)가 중국을 넘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졌다.

24일(현지시각) 뉴욕증시는 3% 넘게 밀리며 2018년 10월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고, 그보다 앞서 유럽 및 아시아 증시도 급락세를 연출했다. 유가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에 4%가 떨어졌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들이 심각한 표정을 짓고있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 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외신 보도에 따르면 한국시간 24일 오후 12시 13분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는 각각 7만9360명, 2619명으로 집계됐다. 전날(23일 오후 4시 정부 발표)보다 확진자(7만8199명)와 사망자(2456명)가 각각 1161명, 163명 늘어난 것이다.

특히 대구에서 확진자가 급증했고, 이탈리아에서도 확진자가 229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5번째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란에서도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61명, 12명으로 급증했다.

뿐만 아니라 이날 쿠웨이트와 바레인, 오만, 이라크에서는 각각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긴장감을 높였는데, 이들 모두 이란과 관계된 확진자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터키는 이란에 대한 여행 및 이민 제재에 나섰다.

내셔널증권 수석시장전략가 아트 호건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아니지만, 중국 외 지역에서 급증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데서 불안감의 차원이 달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를 아직은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이라고 부르기 이르다면서 이에 대비하기 이전에 확산 저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투자자 불안감을 진정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 주가지수·유가 3~4% '풀썩'

이날 다우지수는 전날 대비 1031.61포인트(3.56%) 하락한 2만7960.80으로 마감되며 올해 상승분을 모두 덜어냈다.

S&P500지수는 전날보다 111.86포인트(3.35%) 밀린 3225.89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 지수 역시 전날보다 355.31포인트(3.71%) 후퇴한 9221.28로 거래를 마무리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역대 최고치에서 2%, 6% 정도씩 밀린 셈이다.

앞서 유럽 증시에서는 420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증발했다. 영국 런던 증시에서 FTSE1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7.09포인트(3.34%) 하락한 7156.83에 마감했고 독일 DAX지수의 544.09포인트(4.01%) 내린 1만3035.24를 기록했다.

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237.85포인트(3.94%) 하락한 5791.87에 마쳤으며, 범유럽지수인 스톡스유럽600 지수는 16.21포인트(3.58%) 내린 411.86으로 집계됐다.

사망자가 7명으로 늘고 확진자수도 229명으로 급증한 이탈리아에서는 증시가 5% 넘게 추락했고, 범유럽 우량주 위주의 유로퍼스트 300지수는 3.8%가 떨어졌다.

전 세계 47개국 증시를 추적하는 MSCI 전세계지수는 이날 하루 2.97%가 밀렸고, MSCI지수 기준 신흥 증시도 2.7%가 하락했다.

주가가 빠르게 밀리자 석유시장에서도 트레이더들은 따지지도 않고 우선 매도에 나섰는데,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1.95달러(3.7%) 하락한 51.43달러에 마감했다. 또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4월물은 2.2달러(3.8%) 내린 56.30달러를 기록했다.

◆ 몸 값 뛰는 안전자산, 수익률 역전

골드바.[사진=로이터 뉴스핌]

코로나19 충격이 금융 시장 전반을 강하게 가격하면서 안전자산 인기는 빠르게 고조됐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은 선물 가격이 7년 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날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1672.40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1.7% 급등해 2013년 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미국채의 경우 10년물 수익률(가격과 반대)이 지난 주말 1.47% 수준에서 이날 1.3738%로 떨어졌고, 30년물 수익률은 1.811%까지 밀려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2016년 7월 이후 최저 수준까지 밀린 가운데, 3개월물 금리가 10년물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경기 침체 불안감을 키웠다.

외환시장에서는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엔화가 강세를 보였는데, 뉴욕장 후반 달러/엔 환율은 110.74엔으로 0.77% 하락(달러 매도·엔 매수)했다.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