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1056명 국민 전화조사 실시 결과 발표
벌채 후 새 나무 심으면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2배↑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국민 10명 중 7명은 벌채 관련 정책 수립 시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벌채(목재생산)사업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조사 기관인 갤럽을 통해 일반국민 10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벌채(목재생산)에 대한 느낌 [사진=산림청] 2019.12.12 gyun507@newspim.com |
이번 조사 결과 벌채(목재생산) 용어를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의 비율이 55.2%로 전체 국민의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지역규모가 작고·연령대가 높을수록 인지비율이 높았으며 벌채(목재생산) 용어를 아는 응답자 중 벌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나무 베는 것·자르는 것'(19.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평소 벌채(목재생산)에 대한 느낌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5.7%·'부정적'이라는 응답이 28.3%로 부정적 의견이 다소 높았으나 종이 및 목제품 생산을 위한 벌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2%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지역규모가 클수록 부정적인 응답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부정적인 응답자의 71.3%는 그 이유로 '산림 생태환경 파괴'를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72.2%는 벌채(목재생산) 관련 정책 수립 시 '환경(파괴·훼손 등 방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해 벌채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민의 66.3%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목재 대부분이 수입산이라는 사실을 '안다'고 응답한 반면 벌채(목재생산)를 주로 목재생산림에서 한다는 사실의 인지비율은 27.2%·탄소 저장 등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인지비율은 31.4%로 낮은 수준이었다.
노령화된 나무보다 벌채 후 새로운 나무를 심으면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2배 정도 늘릴 수 있으며 생산된 목재는 건축 및 가구 등 제재목으로 활용 시 50년 이상 탄소를 저장이 가능하다.
앞으로 지속가능한 벌채(목재생산)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산림생태를 고려한 친환경 벌채'(55.6%)를 가장 많이 꼽았고 국산목재의 이용 확대를 위해서는 '국산목재에 대한 인식 확산'(42.7%), '다양한 목재제품 생산·이용'(24.2%)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창술 산림청 산림자원과장은 "종이와 목제품은 우리 생활의 필수품"이라며 "이번 벌채 관련 국민인식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산목재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산림자원 순환체계 구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