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실패 및 권리 반환, 바이오산업 직면한 본질적인 문제
헬릭스미스 9월 글로벌 임상 3상 결과 발표가 ‘분기점’
◆[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셀트리온(-33.89%) 한미약품(-31.92%) 에이치엘비(-57.49%)코오롱생명과학(-72.53%) '
국내 바이오제약업종 간판 종목들이 추풍낙엽처럼 하락하고 있다. 잇단 악재로 올들어 많게는 70% 가량 하락했다. 라이선스아웃(기술수출) 호재에도 개별기업은 물론 업종 전체 주가도 별다른 반응이 없다. 개별 기업의 호재가 섹터의 센티먼트 회복으로 이어지는 시대가 끝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증권가에서는 확실한 글로벌 임상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한 단기간에 반등하기 어렵다고 전망한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바이오기업의 주가는 최근 1년간 최대 70% 가량 하락했다. 대장주인 셀트리온(-33.89%)과 삼성바이오로직스(-26.14%)는 물론 한미약품(-31.92%), 셀트리온헬스케어(-45.78%), 에이치엘비(-57.49%), 안트로젠(-55.93%), 코오롱생명과학(-72.53%), 신라젠(-11.97%), 제넥신(-30.33%) 등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투자심리 악화로 왠만한 호재에도 주가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달 초 유한양행은 글로벌 빅파마 베링거인겔하임과 총 8억7000만달러(약 1조53억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발표했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주가는 오히려 하락했다. 지난 1일 기술수출 발표 당일 전 거래일 대비 4.34% 상승한 25만원대에 거래를 마쳤다. 그러나 이후 14% 하락한 21만원대에 거래 중이다.
지난해 11월 유한양행은 다국적제약사 얀센 바이오테크와 12억5500만달러(약 1조403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체결을 발표했으며 곧바로 상한가로 직행했던 모습과 다른 양상이다.
바이오 투자업계 관계자는 “대형 기술이전 소식에도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 섹터 전체가 반등하는 모습은 더 이상 볼 수 없을 것”이라며 “한미약품의 반복되는 권리반환으로 인해 기술수출이 된다고 해서 신약 개발의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투자자들이 인지하게 됐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지난 3일 한미약품은 얀센이 비만·당뇨치료제 ‘HM12525A’의 권리를 반환했다고 공시했다. 한미약품이 기술수출한 후보물질의 권리 반환은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 2016년 9월 올무티닙(베링거인겔하임), 같은해 12월 랩스인슐린(사노피), 올해 1월 BTK억제제(릴리)가 되돌아왔다.
증권가에선 올해 불거진 이슈가 지난해 금융감독원의 연구개발(R&D) 비용 자산화 회계감리,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등의 악재와는 차원이 다른 바이오산업의 본질적인 문제라고 봤다.
진홍국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수년간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던 인보사의 판매허가가 취소되면서 식약처 승인이 글로벌 수준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형성됐다”며 “한미약품의 권리반환은 기술수출이 언제든지 백지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증대시켰고, 에이치엘비의 리보세라닙 글로벌 임상 3상 실패는 우리나라 신약개발 능력의 현주소를 말해주는 듯했다”고 분석했다.
결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투자는 객관적 임상결과 발표와 같은 모멘텀에 주가가 반응하는 모습으로 변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투자가들은 경험을 축적했지만 많은 수업료를 지불했다. 이제는 시선이 매우 냉혹해지고 차가워졌다”며 “신약개발 바이오주의 재상승에는 강한 상승에너지가 필요한 상황이다. 즉 글로벌 신약개발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비전 있는 임상데이터, 대규모 라이선스아웃 체결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글로벌 임상 3상 결과 발표를 앞둔 업체들의 좋은 데이터가 바이오 섹터의 투자심리 개선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만 시장 기대치 이하일 경우 다시 한번 폭락장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코스닥 시가총액 4위 헬릭스미스(구 바이로메드)의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 후보물질(VM202-DPN)의 글로벌 임상 3상 탑라인이 분기점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헬릭스미스는 이번 달 임상 3상을 종료한 후 중요 데이터의 일부인 탑라인(Topline)을 9월에 발표하고, 최종 결과는 오는 11월 공개할 예정이다.
ur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