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에 옥중 '편지 내조'... "아내가 없었다면 무엇 됐을까"
임기 후 칩거하는 다른 영부인과 달리 활발한 활동
초기 여성운동가로 여성부 출범, 여성 정치인 발탁 힘써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향년 97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10일 오후 숨을 거뒀다. 인생의 동반자이자 정치적 동지였던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 10년 만이다.
지난 1세기를 관통했던 이 여사의 삶은 굴곡진 대한민국의 역사를 그대로 투영한다.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군부독재 시대를 거치며 여성인권과 남북 평화를 위한 통일운동가로 활동해왔다. 그의 삶이 곧 현대사였다.
◆'재기발랄' 여성 리더, 여성인권 운동하다 DJ 만나
이 여사는 1922년 서울시 종로구 수송동 외가에서 6남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의사 아버지를 둔 유복한 가정에서 자라며 명문 이화여고와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했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해 대학원을 마쳤다.
학창시절 이희호 여사는 재기발랄하고 활동적인 여성리더였다. 이 여사는 대학에서 연극을 하는가 하면, 총학생회에서는 사범대 대표를 맡았다.
강원룡 목사는 ‘내가 만난 이희호(1997)’라는 책에서 “어느 대학에서 강연 후 학생들과 자기소개 시간을 가졌는데 그의 차례가 되자 ‘히히호호’하며 크게 웃는 것으로 ‘희호’라는 이름을 소개했다”고 회고했다.
사회활동은 여성단체인 YWCA에서 시작했다. 여성 운동가이자 인권 활동가로서 혼인 신고 의무화, 축첩 반대 등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한 운동에 앞장섰다. 김 전 대통령과는 1962년 만나 결혼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 [사진=김대중평화센터] |
◆DJ와 함께 민주화 운동 최전선에서... '정치적 동반자'로
이 여사와 김 전 대통령의 만남은 순탄치 않았다. 두 사람은 1951년 6.25 전쟁 피란지인 부산에서 처음 만났다. 10여 년 뒤 김 전 대통령이 첫 부인과 사별하며 두 사람의 인연은 다시 시작됐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번번이 낙선하며, 힘든 생활을 이어가고 있었다. 전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김홍일·김홍업 전 의원)도 있었다. 이 여사 측의 반대가 심했다. 하지만 이 여사는 훗날 자서전을 통해 “꿈이 큰 남자의 밑거름이 되자고 결심하고 선택한 결혼”이라고 회고했다.
이 때부터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의 영원한 동반자가 됐다. 김 전 대통령의 정치 길도 순탄하게 풀렸다. 국회의원으로서 내리 3선을 했고, 1971년에는 신민당 대선후보로 선출됐을 정도다.
하지만 이후 김 전 대통령이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대선 경쟁에서 패배하며 미국 망명과 납치 사건, 가택연금 등 온갖 고초를 함께 겪었다. 이 여사의 인생에도 가시밭길이 펼쳐졌다. 24시간 감시와 도청이 계속됐다.
고난을 겪으며 김 전 대통령과 이 여사의 관계는 ‘정치적 동지’로 확대됐다. 이 여사의 내조는 독재와 싸우는 조국의 지도자를 보살피는 일이었다.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이 1977년 정월 ‘3.1 구국선언문’ 사건으로 구속되자 수감 중인 남편을 살뜰하게 챙겼다. 그에게 차입하는 옷은 속옷까지도 다려 넣을 정도였다.
그녀의 내조 가운데 남편에게 격려가 되었던 것은 편지였다.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이 옥중에 있는 동안 거의 하루도 빼놓지 않고 편지를 썼다. 가정사 외에도 철학적·신학적 논쟁거리, 남편의 투쟁에 대한 격려 등이 담겼다.
김 전 대통령은 1983년 미국 망명 시절, 샌프란시스코 강연 도중 "아내가 없었더라면 내가 오늘날 무엇이 되었을지 상상도 할 수 없다“고 말할 정도였다.
김대중평화센터를 찾은 한 관람객이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사진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김대중평화캠프조직위] |
◆대선 4수 끝에 청와대 입성... 이희호 여사 "극한적 고통과 환희, 극적으로 체험한 삶"
김 전 대통령이 1997년 제15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이 여사는 ‘퍼스트레이디’가 됐다. 대선 4수 끝에 얻은 결실이었다. 이를 두고 이 여사의 한 지인은 “김대중 정권 지분의 40%는 이 여사의 것”이라고 말했다.
영부인이 된 이 여사는 70살이 넘은 고령의 나이에도 활발히 내조했다. 특히 아동과 여성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김대중 정부 후반기인 2001년 여성부가 처음으로 출범하는 것에도 이 여사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이 여사는 여성의 공직 진출 확대와 여성계 인사들에 정치계 문호를 넓히기도 했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 추미애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미경 한국국제협력재단 이사장,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등 여러 여성계 인사가 발탁돼 중진 정치인으로 성장했다.
그녀가 영부인 신분으로 가장 먼저 맡았던 직책은 결식아동을 돕기 위해 설립한 사단법인 ‘사랑의 친구들’ 명예회장이었다. 이후 한국여성기금추진위원회재단 명예이사장,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명예대회장 등을 맡았다. 2009년 김 전 대통령 서거 후엔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을 지내왔다.
이후에도 2015년 93세의 나이로 세 번째 방북길에 오르는 등 남북통일을 위한 교두보 마련에 힘써왔다. 이 여사는 2008년에 펴낸 자서전 ‘동행’에서 김 전 대통령과 함께한 일생을 "극한적 고통과 환희의 양극단을 극적으로 체험한 삶"이라고 기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고인의 별세 소식이 들려오자 추모 메시지를 통해 "여사는 정치인 김대중을 행동하는 양심으로 만들고 지켜주신 우리 시대의 대표적 신앙인, 민주주의자였다"고 추모했다.
이 여사는 10일 오후 11시 37분 서울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별세했다. 노환으로 지난 3월부터 세브란스병원 VIP 병동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발인은 14일 오전 6시, 장지는 서울 국립현충원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11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故) 이희호 여사의 빈소를 찾은 조문객이 조문하고 있다. 2019.06.11 mironj19@newspim.com |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