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TF 발족…본격적인 논의 돌입
심사 기준 따라 카드사 경쟁력 갈림길 전망
금감원 "각사별 면담 등 의견취합중...6월 결론낼 것"
[서울=뉴스핌] 이정화 기자 = 금융감독원과 카드업계가 머리를 맞대 논의중인 카드상품 수익성 심사 기준을 두고 대형사와 중소형사간 이견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각사별 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취합중이며 다음달 6월까진 결론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1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발족한 '카드상품 수익성 분석체계 합리화 태스크포스(TF)' 논의에서 중·소형카드사들은 공헌이익 등 무형의 가치를 심사 기준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중·소형카드사들은 카드업계 후발주자로 시장점유율이 높지 않아 공격적인 영업이 불가피한 상황. 충성고객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들은 부가서비스를 축소할 경우 고객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때문에 신규 회원의 향후 카드결제 예상액을 의미하는 공헌이익을 심사 기준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되면 카드사가 탑재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는 그만큼 늘어날 수밖에 없다.
반면 회원 수가 많고 '규모의 경제'로 비용 효율성이 높은 대형사들은 중소형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가서비스 축소에 대한 입장이 유연한 편이다.
대형카드사 관계자는 "과도한 부가서비스를 탑재해 높은 비용의 카드상품을 출시한 후 나중에 부가서비스 축소를 요구하는 관행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당국 취지에 공감한다"며 "카드업황이 갈수록 악화되는 상황에서 수익성이 담보되는 상품을 출시하는 것이 카드사로서도 합리적"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또한 독립 법인을 두지 않고 은행 내 사업부 형태로 운영되는 겸영 카드사의 경우 전업계 카드사와는 별도의 기준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점 수가 많다보니 판매관리비 등 비용면에서 전업계카드사와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이번 수익성 분석체계 합리화 TF는 지난달 9일 카드산업 경쟁력 제고 및 고비용 영업구조 개선방안의 후속조치다. 그동안 회원 유치를 위해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고 과도한 고비용 구조를 유지해온 카드사의 경영방식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금감원은 1차 회의 진행 이후 각사별로 운영하고 있는 자체적인 수익성 심사 기준과 관련한 내용을 제출받아 이를 바탕으로 1:1 개별 면담을 진행중이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사별로 유불리가 달라 우선 의견을 취합하고 있다"며 "다음달까지 결론을 내겠다"고 답했다.
cle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