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도쿄올림픽 맞춰...중, '완성도'에 초점
"너무 빠른 상용화, 실익 없다"...투자비 부담 공감
[편집자] 3G, LTE에 이어 5세대(5G) 통신 시대가 시작됩니다. 사물과 인간이 촘촘히 이어지는 명실상부한 '초연결시대'가 구현되는 것입니다. LTE 보다 20배 빠른 네트워크 속도는 일상의 변화는 물론 인공지능·가상현실·자율주행·스마트홈 등 4차산업혁명을 완성하는 기반입니다. 뉴스핌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맞물려 5G란 무엇이며, 기업과 정부의 역할, 바뀌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등 총 50회에 걸친 '5G 빅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성상우 기자 = 지난 3일 벌어졌던 5G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 쟁탈전은 한국과 미국만의 싸움이었다. 상용화 일정을 예고없이 앞당기는 '기습 공격'이 감행되고, 정보를 입수한 한국이 약 1시간 먼저 개통에 성공했다.
이 과정을 지켜봤던 일본과 중국, 유럽의 이통사들은 어떤 심정이었을까. '타이틀보단 실리를 챙긴다'는게 이들의 입장이다. 주요 선진국들의 5G 상용화 계획은 조금 더 시간차를 두고 추진되고 있다. 당장 올해부터 5G 시장이 만개하진 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항저우 중신사=뉴스핌 특약] 이동현 기자 = 지난 5일 항저우에서 중국 최초의 ‘5G 통신 무료 체험공간’이 문을 열었다. 일반 시민들은 무료로 가상현실(VR), 게임등 등 5G 통신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
◆ 일본·중국·유럽, 내년부터 본격 5G 상용화 계획
글로벌 시장에서 5G 시장이 본격 개화하는 시기는 내년 이후다. 현재 전세계 85개국 204개 통신업체가 5G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그 중 NTT도코모(일본), 차이나모바일(중국), 보다폰(영국) 등 글로벌 주요 이통사들은 5G 상용화 시점을 내년으로 잡고 있다.
세번째로 5G 상용화를 이루는 지역은 유럽이 될 가능성이 높다. 스위스 국영통신사 '스위스콤'은 LG전자의 5G 스마트폰 'LG V50 씽큐'를 다음달 중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는 유럽 전체 중 스위스 한 곳에 국한된 상용화일 뿐 유럽 전체의 5G 상용화라고 보기 어렵다. 유럽 전역에서 5G 상용화가 이뤄지려면 도이치텔레콤(독일), 보다폰(영국), 오렌지(프랑스), 텔레포니카(스페인) 등 유럽 주요 이통사들이 움직여야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5G 상용화 시점을 밝히지 않고 있고,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이란 게 업계 관측이다.
MWC19 보다폰 부스 전경 [사진=성상우 기자] |
일본은 내년 열리는 도쿄올림픽에 맞춰 5G 상용화 일정을 잡고 있다. 이에 일본 총무성은 지난 10일 5G 주파수를 자국 4대 이통사에 할당했다. 한국보다 약 1년 늦은 속도다. 올해 12월경 소프트뱅크를 시작으로 NTT도코모, KDDI 등이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5G 상용화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역시 내년 중 5G를 상용화할 전망이다. 한국과 미국보다 1년여 늦은 시점이지만, 5G 개화에 맞춰 충분한 네트워크와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해 '완성도 높은' 5G를 구현한다는 속내다. 오히려, 한국과 미국이 서둘러 진행한 5G 상용화가 이용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이라며 평가절하고 있다. 이에 자국 3대 이통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을 통해 상하이에서 시범서비스를 거친 뒤 내년부터 전국에서 일제히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구상이다.
◆ 느긋한 이유는?..."너무 빠른 상용화, 실익 없다"
글로벌 주요 이통사들이 이렇게 느긋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직 개화하지 않은 시장에 가장 먼저 들어가봤자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그보단 안정화된 단말기 확보와 충분한 네트워크망 구축 등 '내실'을 먼저 쌓고, 시장이 본격 커지기 시작할 때에 맞춰 상용화를 진행하는 게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차이나텔레콤을 비롯한 중국의 주요 이통사들은 당초 수립한 투자액의 절반 수준 금액만을 현재까지 집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문학적인 5G 투자 금액 대비 투자 회수 가능성이 불확실하다는 우려가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MWC19 오렌지텔레콤 부스 전경 [사진=성상우 기자] |
5G 전체 상용화가 가장 늦을 것으로 전망되는 유럽은 5G 도입 필요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아직 유럽 전역에서 3G가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충분한 전용 콘텐츠 조차 확보되지 않은 5G망을 왜 급하게 깔아야하냐는 것. 현지 이통사들의 3G 및 4G망에서의 투자 회수 기간을 충분히 확보해주려는 정책 기조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통사 관계자는 "5G 상용화를 바라보는 각국의 시각이 다 다르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LTE 환경에서 수용해야하는 데이터량이 급증 추세이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수용이 가능한 5G 망이 다른 나라보다 더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볼 수 있고,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를 가진 국가라는 특성상 기술 진화 속도가 다른 나라보다 빠른 측면도 있다. 반면, 아직 3G 이용자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는 그 필요성이 적은 것일 뿐이다. 글로벌 5G 시장의 진검 승부는 내년 이후부터 펼쳐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swse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