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재건축 수주 컨소시엄 제한 조건 요구 많아져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컨소시엄 아파트에 대한 재정비사업 조합원들의 선호도가 서울과 지방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재건축 조합들이 컨소시엄 보다는 단일 건설사의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반면 지방은 아파트 브랜드 인지도가 큰 대형건설사라면 컨소시엄도 나쁘지 않다는 반응이다.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시공사를 찾는 서울 재건축 단지 조합들은 입찰자격에 '공동참여 불가'를 조건으로 내거는 곳이 많아졌다.
서울 노량진8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 10월 건설사들의 컨소시엄 형성을 금지한 채 단독 응찰만을 허용하는 시공사 모집공고를 냈다. 이와 함께 강남구 대치동 구마을3지구 재건축, 강동구 천호3구역 재개발 조합도 컨소시엄 불가를 원칙으로 내세웠다. 과천 주암장군마을 재개발 조합 역시 같은 조건으로 시공사 모집 공고를 낸 바 있다.
올 들어 동작구 흑석9구역, 구로구 개봉5구역의 재개발 조합과 과천주공4단지 재건축 조합이 컨소시엄 불가를 조건으로 시공사를 뽑았다.
과거에는 컨소시엄을 선호했지만 최근에는 단일 시공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것이다.
지난해 8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 [사진=뉴스핌DB] |
조합들이 단일 건설사를 선호하는 이유는 우선 시공사 입찰 경쟁을 부추겨 공사비, 이주비 부담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다. 건설경기 위축으로 건설사들의 수주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재건축 시장이 조합 우세장이 돼버린 것이다. 건설사 입장에서도 단일 수주시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고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또 컨소시엄 아파트는 복잡한 단지명이 지어지게 되는 게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아파트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재건축 단지 한 조합원은 "컨소시엄 형태로 들어간 아파트는 꺼려진다"며 "아파트 구조와 특색이 달라 안정감을 주지 못하고 하자보수에 대한 책임이 불분명하다는 우려도 나온다"고 설명했다.
과거 건설사들이 컨소시엄에 나섰던 이유는 사업 위험성을 분산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때문이다. 대단지 미분양 등으로 적자가 발생해도 시공사별 위험 부담을 분산할 수 있다. 여기에 수주에 참여하면서 치열한 경쟁으로 입찰 단가를 떨어뜨릴 필요가 없는 점도 컨소시엄의 이점으로 꼽혔다.
이같은 사실상 '건설사간 담합'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게 강남권을 비롯한 서울지역 재정비 조합의 의지인 것이다.
반면 서울과 달리 지방 재건축 단지는 대형사의 아파트 브랜드라면 단일이든 컨소시엄이든 따지지 않는 분위기다. 지방 일대 미분양 단지가 적지 않다 보니 위험요소를 줄이기 위해 조합과 건설사 입장에서도 단일 시공 보다는 컨소시엄 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 더욱이 지방의 경우 브랜드 아파트는 분양 성패의 가장 큰 잣대가 되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도 유명 브랜드를 유치하려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예전 컨소시엄 수주가 많았는데 당시 건설사들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출혈경쟁을 피하려고 했다"며 "재건축 단지 수주에 공을 많이 들여야했던 과거 이런 구조가 두드러질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방의 경우 서울과 수도권보다는 비인기 지역으로 조합 입장에서 인지도 높은 브랜드라면 단일이든 컨소시엄이든 따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