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준호 기자 = 대형마트가 올해 2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영업시간이 줄어든 데다, 최저임금 인상과 온라인 성장에 따른 시장 잠식까지 겹치면서 매출은 줄고 수익성도 악화됐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마트는 지난 2분기 할인점 부문 영업이익이 407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4.2%나 급감했다. 총 매출액도 2.1% 감소했다.
롯데마트의 경우 영업적자가 780억원으로 확대됐다. 특히 구조조정으로 적자폭을 줄인 해외사업과 달리 국내 할인점의 적자가 무려 160억원이나 늘어났다. 매출 역시 1.2% 감소했다.
양사 모두 일선 매장의 영업시간 단축과 늘어난 인건비 부담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마트는 심야 영업시간을 한 시간 단축하면서 기존점 매출이 3.1% 감소했다.
롯데마트도 신선식품(-4.3%)의 부진과 패션 브랜드 매장의 철수 등으로 기존점이 4.0% 역신장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가 72억원 증가하는 등 늘어난 판매관리비도 영향을 미쳤다.
침체기에 빠진 할인점 업황도 하락세의 원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대형마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8% 감소했다. 주요 유통채널 가운데 유일하게 대형마트만 매출이 역신장하며 부진했다.
올해 1월부터 영업시간이 한 시간 단축된 이마트 매장[사진=뉴스핌] |
온라인 업태의 성장도 대형마트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4년 전만 해도 국내 유통업 전체 매출에서 대형마트와 온라인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8.4%, 27.8%로 비슷했지만, 올해 상반기 대형마트의 비중은 21.3%로 쪼그라든 반면 온라인은 37.9%로 확대되며 양 업태의 격차가 급격히 벌어졌다.
남옥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대형마트의 실적부진은 업태에 대한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수요 감소 때문"이라며 "국내 대형마트에 대한 수요는 식품 온라인, 전문몰 등으로 분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기에 몰린 대형마트 업계는 이를 타개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우선 수익성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돌입했다.
이마트는 비효율 점포 정리에 적극적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학성점을 폐점한 데 이어 올해 들어 부평점·시지점이 문을 닫았다. 덕이점도 연내 폐점을 앞두고 있다. 롯데마트도 적자폭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중국 사업을 정리하며 수익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또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새로운 형태의 전문점이나 매장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이마트는 노브랜드 전문점의 성공을 발판으로 삐에로쇼핑이나 피코크 전문점 등 신사업을 꾸준히 늘려나갈 계획이다.
롯데마트가 수원점에 첫 선을 보인 마켓D도 오픈 한 달간 전체 평균보다 8%포인트 높은 실적을 거두며 연착륙에 성공했다. 마켓D는 기존 마트 내에 숍인숍 형태로 입점하는 새로운 모델로 롯데마트에서 새롭게 선보인 가격 우위형 점포다.
홈플러스도 기존 대형마트에 창고형할인점의 장점을 결합한 '홈플러스 스페셜' 매장을 잇달아 오픈하며 출구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명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상반기 오프라인 대형마트 채널의 부진 이유는 최저임금 비용 부담과 날씨 영향 등이 원인이나, 근본적으로 오프라인 매출 성장을 일으킬 요인도 부재하다”며 “신규 성장 동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롯데마트 마켓D 매장 전경. [사진=롯데쇼핑] |
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