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마트링크' 통해 기업 맞춤형 솔루션 제공
R&D 인력 절반 넘어… "신성장동력 지속 확보"
[서울=뉴스핌] 김민경 기자 = "우리 제품은 비싸다. 하지만 누구도 대신하지 못한다. 고영테크놀러지는 이 분야의 파이어니어(개척자)다. 누구도 풀지 못했던 난제를 해결하는게 우리 기술력이다."
![]() |
<사진=김민경 기자> |
고영 광교 R&D센터에서 만난 박현수 고영테크놀러지 경영기획팀장은 자사 기술 경쟁력을 설명하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고영테크놀러지는 이달 초 경기도 수원 광교신도시에 신규 연구개발(R&D)센터를 개소했다. 새로운 아이템 개발과 R&D 인력 증가에 따라 커뮤니케이션과 업무협력을 위해 지역마다 흩어져있던 연구개발 시설을 한데 모아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고영테크놀러지는 검사 대상물의 외형을 정확히 측정하고 인식할 수 있는 초정밀 측정 검사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3D 측정 기술을 통해 다양한 공정의 불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불량 원인을 진단, 기업들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기존 기업들이 공정이 잘 이뤄지는지 검사를 하려면 일일히 육안으로 살피거나 2D를 통해 들여다봐야 했다. 하지만 고영의 검사 솔루션은 '케이스마트링크'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무인화 공정은 물론 높이 측정과 실시간 휨 정도 측정, 그림자·난반사 해소, 원격 모니터링까지 제공한다.
여기에 모든 검사 데이터를 저장해 수치화된 결과를 통한 솔루션도 제공한다. 예컨대 공정에서 평균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들뜸이 있는지 파악해 이를 곧바로 수정하는 식이다.
![]() |
고영의 검사 솔루션 <사진=고영테크놀러지> |
케이스마트링크를 통해 검사 공정을 시연하던 이창준 고영테크놀러지 대리는 "이런 시스템은 제조업 환경에서 Something New(새로운 것)다. 이제까지 한국 제조업 환경은 데이터를 일일히 계산기 두드려서 취합하는 등 상당히 올드한 방식이었는데 고영테크놀러지가 최초로 시스템을 구축해 고객사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시작했다"며 "모듈형태로 계속 개발하고 있어 앞으로 더욱 많은 서비스가 추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고영테크놀러지는 창업 이후 고성장세를 보여왔다. 매출액은 지난 2010년 712억원에서 2016년 1718억원, 2017년 2034억원으로 늘었다. 영업이익 역시 188억원에서 각각 332억, 437억원으로 늘어났다.
박현수 팀장은 "물들어올 때 노 젓는다는데, 우리는 물이 계속 들어온다"며 "우리 서비스를 믿고 찾아오는 고객사들이 늘어나면서 R&D 인력도 계속 확대하고 있다. 현재 전체 인원 521명 중 R&D인력이 288명으로 절반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 |
고영의 뇌 수술 로봇 <사진=고영테크놀러지> |
고영테크놀러지는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로봇과 AI에도 많은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고영은 업계의 리딩제품으로 뇌 수술을 돕는 로봇을 개발중이다. 3D 영상에서 주요 혈관과 신경을 피해 방향을 잡아서 정해진 위치로 수술도구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 기존에는 눈금이 그려진 상자를 머리에 씌우고 몇 미리 간격으로 잰 후 수술을 진행하는 방식이었지만 로봇이 수술에 참여함에 따라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해진 수술 위치로 가이드해 정확성을 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외국에서 고영테크놀러지는 '자동화 관련 로봇 회사'로도 정평이 나 있다. 지난해 6월 미국 EU, 글로벌 분야의 로봇 전문 기업을 대상으로 로봇 전문 지수를 산정하는 '로보글로벌(RoboGlobal)'은 글로벌 로보틱스 및 자동화 전문 지수에 한국 회사 최초로 고영테크놀러지를 편입하기도 했다.
박현수 팀장은 "고영의 DNA는 도전정신"이라며 "똑같은 것으로는 경쟁하지 않겠다"며 끊임없이 신성장 동력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cherishming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