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여름철 대량출현 사전 차단
[세종=뉴스핌 이규하 기자] ‘바다의 불청객’인 해파리 대량출현을 사전에 막기 위해, ‘해파리 부착유생’을 제거하는 작업이 추진된다. 특히 일부 잠수사에 한정한 부착유생 탐색·제거 교육대상이 수중촬영 동호회 등 일반에 확대되고, 제거 기술도 다양화한다.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파리 부착유생 관리 중장기계획(2018-2022)’을 수립,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연근해에서는 지름 15cm 내외의 투명한 몸체를 가진 보름달물해파리가 가장 흔히 발견되고 있다.
해파리로 인한 피해현황을 보면, 해파리는 그물 등 어구를 상하게 하고 어획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 어업인들의 가장 큰 골칫거리다.
또 최초 발생한 부착유생(폴립) 1개체가 자가분열을 통해 약 5000여 개체까지 증식하는 강한 번식력을 갖고 있다. 해파리 부착유생은 성체가 되기 전 수중 구조물 등에 부착해 살아가는 유생을 말한다.
때문에 해파리는 초기 단계의 방재작업이 중요하다.
보름달물해파리 생활사 (자료: 해양수산부) |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마련한 주요지역 부착유생 분포도를 기초로 연차별 추가 탐색과 신고 제도를 운영한다.
외부로부터 해파리 유입이 우려되는 개방형 해역이나 해파리 대량발생 주의보 상습 발령해역(진해만, 득량만, 고성·자란만) 등 해파리 취약해역에 대해서는 인근 해역까지 부착유생 탐색이 넓어진다.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특성을 지닌 부유형 해파리를 고려해 서해안-남해안-동해안으로 단계적 부착유생 제거가 추진된다.
우선 올해는 인천·충남 3개소로 하고 내년 인천 7개소가 제거 대상이다. 2020년에는 충남·전북 17개소와 2021년 경남 21개소, 2022년 부산·경북·경남·제주 22개소다.
아울러 밀집구역 위주의 관리에 치중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주변해역 해파리 유입경로 분석 등을 통해 해역별 집중관리로 전환한다.
부착유생 제거 때에는 주변탐색도 병행한다.
부착유생 탐색·제거 교육대상에는 잠수사외에도 수중촬영 동호회 회원 등 일반 참여가 가능해진다. 중국·일본 등 주변국과는 ‘한-중 해파리 전문가 워크숍’, ‘한-중-일 해파리 워크숍’ 등 해파리 대량발생 협력기반도 강화한다.
부착유생 제거에 도움을 주는 인공구조물 부착판이나 유생 방출을 막는 방지막 장비도 개발한다. 기존 제거방식인 고압해수분사방식보다 신기술인 ‘부착유생 흡입방식’도 검증하는 등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이 밖에 해파리 대량발생 메커니즘 및 유전자 구조 규명, 해파리 이동경로 추적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도 2021년까지 추진한다.
강용석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이번에 수립한 해파리 부착유생 관리 중장기계획을 차질 없이 시행해 매년 발생하는 해파리 피해를 2022년까지 획기적으로 저감할 것”이라며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해파리로 인한 수산업계 피해를 줄이고 해양생태계 건강성 회복에도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 신기술 방식 (자료: 해양수산부) |
[뉴스핌 Newspim] 이규하 기자 (jud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