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종목

속보

더보기

알리바바 텐센트, 아시아 시총 1위 놓고 엎치락뒤치락

기사입력 : 2017년07월18일 17:50

최종수정 : 2017년07월18일 17:50

깜짝 실적발표 이어 주가도 고공행진 지속

[뉴스핌=백진규 기자] 올 들어 아시아 기술주가 급등하는 가운데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아시아 시총 1위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올 들어 두 기업의 시가총액은 각각 72%, 51%나 오르며 투자자들을 끌어당겼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두 기업의 실적과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17일 알리바바(BABA)는 151.23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연초대비 72.2%, 지난 1년간 85.0%나 오른 가격이다. 같은 날 텐센트(騰訊控股, 00700.HK)는 184.43홍콩달러로 장을 마감, 올 들어 50.5%, 1년간 55.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텐센트는 지난 5월 2일(현지시각) 중국 기업 처음으로 시가총액 3000억달러를 돌파했다. 이에 따라 중국 언론들은 마화텅(馬化騰) 텐센트 회장이 319억달러의 몸값으로 마윈(309억달러)을 뛰어넘고 중국 부호 1위자리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그로부터 1개월만인 6월 8일, 알리바바는 시총 3600억달러를 기록하며 텐센트(3323억달러)를 제치고 다시 아시아 1위 자리를 차지했다. 그 뒤로도 7월 17일까지 알리바바 시가총액은 240억달러가 증가했다. 바이두(655억달러)나 징둥닷컴(596억달러) 시가총액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를 1개월만에 늘린 것이다.

◆ 깜짝 실적발표에 주가도 고공행진

주가 급등의 가장 큰 원인은 두 기업의 탄탄한 실적에 있다. 알리바바는 지난 5월 올해 1분기(1~3월) 매출이 전년비 60% 증가한 286억위안(약 4조7600억원) 규모라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치(360억위안)을 상회한 수치다. 순이익은 99억위안에 달했다.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 외에도 클라우드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장을 성공시켰다. 1분기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은 103%,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매출은 234% 증가했다.

텐센트의 1분기 매출액은 496억위안으로 전년비 55%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시장 전망치(37~48%) 를 상회한 수치이며 순이익은 145억위안을 기록했다.

텐센트의 경우 게임, SNS, 모바일 결제 부문이 서로 어우러지며 그룹 실적을 끌어올렸다. 텐센트의 1분기 스마트폰 게임 매출은 전년비 57% 늘어난 129억위안을 기록했고, ‘중국판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위챗 이용자 수는 올해 3월말 9억3800만명을 기록했다. SNS광고수입은 44억위안으로 전년비 67%나 증가했다.

또한 두 기업은 중국의 모바일 3자결제 시장을 사실상 양분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알리페이(支付寶∙즈푸바오)와 텐페이(財付通∙차이푸퉁)의 점유율은 각각 53.7%와 39.5%로, 두 회사의 점유율을 합하면 93.2%에 달한다.

반면 중국 IT업계 3인방으로 BAT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냈던 바이두의 매출액은 169억위안, 순이익은 18억위안에 그쳤다.

◆ 명확한 사업방향, 신소매 모바일 결제시장 확장

전문가들은 기업실적 외에도 명확한 사업방향과 성장성을 두 기업의 주가 상승 원인으로 꼽았다.

알리바바는 7월 초 개최한 '타오바오 메이커 페스티벌 (造物節)’에서 무인 편의점 타오카페(TAO CAFÉ)를 시험 운영했다. 편의점에 들어가면서 사람 얼굴과 타오바오 계정을 입력하고, 나올 때 자동으로 계산되는 방식이다. 아직 기술적 보완이 필요하지만, 무인 상점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영화감상과 쇼핑을 결합한 무료 영화관 필름고(Filmgo)도 함께 공개했다.

마윈 알리바바 회장은 9일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2020년까지 알리바바의 총거래액 규모가 1조달러, 고객 수 20억명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전자상거래 증가세가 예전보다 둔화된 것은 사실이나, 알리바바가 목표치를 달성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 내다봤다.

또한 최근 알리바바는 신소매 신제조 신금융 신기술 신에너지의 5개 사업분야로 기업전략을 재편한다는 ‘5신(新) 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초상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알리바바가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만능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알리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결합한 신소매 사업 확장을 통한 장기적 발전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 주가는 190달러로 제시해 앞으로도 주가가 25%이상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텐센트 역시 모바일 엔터사업, 해외결제 등으로 시장을 넓혀갈 계획이다. 마화텅 텐센트 회장은 지난 5월 1분기 실적 발표 직후 “동영상 사이트와 비교적 최근 출시한 노래방 모바일 앱, 사진편집 앱 톈톈P투(天天p圖), 모바일 게임 왕자영요(王者榮耀 펜타스톰)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 성장세가 두드러졌다”고 평가했다.

중태증권(中泰證券)은 “왕자영요가 큰 인기를 끌면서 12세 이하 게임시간 제한 등 규제책이 도입되기도 했으나, 청소년들의 경우 유료아이템 구매 비중이 낮아 실제 매출에 큰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13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위챗페이는 7월 3일 위챗페이 해외 플랫폼을 오픈했다. 위챗페이 가맹점 신청 절차를 간편하게 해 7~15일 안에 가맹점 체결을 완료하고, 이곳으로 중국 유커들을 끌어당길 수 있는 다양한 홍보활동도 지원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최태원 "고객 불안과 불편 초래 사과"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김영은 인턴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개인정보 유출 사고 20여일만에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최 회장은 SK그룹 내에 정보보호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정보보안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7일 서울 SKT타워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고객들과 국민들게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 SK그룹을 대표해 사과드린다"며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 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5.07 yym58@newspim.com 최 회장은 "고객의 입장을 제대로 살피지 못했고 고객뿐만 아니라 국회 정부 기관 등 많은 곳에서 질책을 하셨다"며 "마땅한 일이고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정부 조사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협력 계획을 밝혔다. 이번 SK텔레콤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해 정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조사 중이다. 최 회장은 "정부 조사에 적극 협력하고 사고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규명하는 데 주력하겠다"며 "고객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룹 전반의 보안체계 점검과 함께 정보호보혁신위원회 설치 계획도 밝혔다. 정보보호혁신위원회는 SK수펙스추구협의회 산하에 설치될 전망이다. 최 회장은 "SK그룹사 대상으로 보안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보호혁신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며 "저희는 이번 사고가 보안이 아니라 국방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국방과 안보체계를 짜는 것이 중요하고 안보이자 생명이라고 생각하고 임하겠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고객의 신뢰는 SK그룹이 존재하는 이유이며 앞으로도 존재하는 이유가 될 것"이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본질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돌이켜 생각하고 신뢰를 얻도록 다시 한 번 노력할 것이다. 불편을 겪으신 분들에게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리고 문제 해결에 책임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지속적으로 지적을 받은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입장을 보였다. 최 회장은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한 생각을 묻는 취재진의 질의에 "제 생각이 어떠냐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이용자의 형평성 문제와 법적 문제를 같이 검토해야 한다"며 "SKT 이사회가 이 사안을 놓고 논의 중이다. 논의를 잘해 좋은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제가 이사회 멤버가 아니다 보니 드릴 말씀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한편 최 회장은 오는 8일 예정된 SK텔레콤 국회 청문회에는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최 회장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대비한 암참(AMCHAM·주한미국상공회의소)과의 한미 통상 관련 행사 참석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다음은 최태원 회장의 사과문 전문과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전문.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5.07 yym58@newspim.com 최근 SK텔레콤의 사이버 침해 사고로 고객분들과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습니다.SK그룹을 대표해서 사과드립니다. 또한, 바쁜 일정 속에서 매장까지 찾아와 오래 기다리셨거나 해외 출국을 앞두고 촉박한 일정으로 마음을 졸이신 많은 고객분들의 불편이 크셨습니다. 지금도 많은 분들이 또 피해가 없을지 걱정을 하시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이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특히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과 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또 고객의 입장에서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고 또 이는 저를 비롯한 경영진 모두가 뼈아프게 반성할 부분입니다. 고객뿐 아니라 언론이나 국회, 정부기관 등 많은 곳에서의 질책은 마땅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이를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일단 정부 조사에 적극 협력해서 사고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규명하는데 주력을 하겠습니다. 또 그래서 고객의 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또한 저희를 믿고 유심보호서비스를 가입해주신 2400만 고객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유심 교체를 원하는 분들도 더 빠른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별도로 SK 전 그룹사를 대상으로 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도록 하겠습니다.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 보호 혁신 위원회를 구성해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사태를 수습을 하기 위해서 일선에서 애써 주시고 계신 T월드, 고객센터, 정부 및 공항 관계자 또 회사 구성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입니다.  고객의 신뢰는 SK그룹이 존재하는 이유였습니다. 앞으로도 존재하는 이유가 될 것입니다. SK그룹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저희에게 던지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되는 본질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돌이켜서 생각하고, 신뢰를 얻도록 다시 한 번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불편을 겪으신 모든 분들께 깊이 사과드립니다. 문제 해결에 책임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은 최태원 SK그룹 회장 질의응답 전문> Q. 유심 교체를 했는지. 이번 사태와 관련한 개인적 심경변화를 국민께 전한다면- 저도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을 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안 했다. 해외 출장은 제가 듣기로는 다가오는 15일까지는 해외 출장을 가더라도, 로밍 (문제를) 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15일 이후에는 불편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그동안 해외 여행을 가셨던 분들께 다시 한 번 사과 말씀드린다. 이번 사태로 느꼈던 점은, 여태까지 이런 IT보안 부분은 IT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그 분들께만 주로 전담되고 있었던 것 같다. 이를 넘어서 보안이 얼마나 저희에게 중요한 사항인지에 대해서 좀 더 깨닫고 회사 전반, 그룹 전반이 나서서 이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했다. 앞으로도 이 점을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 Q. 정보보호혁신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했는데, 설치가 어디에 되는 건지? 회장 직속인지, 몇 명 구성인지가. 전문가가 들어가기로 했는데 누가 들어가는 건가. 임직원도 포함되는지. - 가능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선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씀드렸다. 주로 외부 전문가를 모셔서 정보보호혁신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겠다. 이런 위원회는 주로 저희는 SK수펙스추구협의회에 구성하도록 돼 있다. 수펙스추구협의회에 구성될 것으로 전망한다. 저희 그룹은 그저 보안 문제가 아니라 '국방' 문제로 생각해야 할 상황이라고 보인다. 그렇게 국방 상황을 제대로 짜고 안보체계를 제대로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보안을 넘어서 안보고 생명 문제라는 생각을 가지고 임하도록 하겠다. Q. 국회와 여론에서 해지가입자 위약금 면제 문제에 대한 요구가 높은데 이에 대한 생각은.- 솔직히 제 생각이 어떠냐는 점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가능한 고객 불편이 없도록 해결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은 이용자의 형평성 문제와 법적 문제를 같이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현재 SK텔레콤의 이사회가 이 사안을 놓고 계속 논의 중에 있다. 그 논의가 잘 돼서 좋은 해결 방안이 나오도록 기대하고 있다. 제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어서 드릴 수 있는 말씀이 여기까지인 것을 양해해 주시기를 바란다.  다시 한 번 고객과 국민들께 불편을 끼쳐 드려서 사과 말씀 드린다.  origin@newspim.com 2025-05-07 10:57
사진
트럼프 "8~9일 세상 뒤흔들 중대 발표"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8일 내지 9일에 세상을 뒤흔들 중대 발표를 할 것이라고 예고해 관심이다. 6일 트럼프 대통령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의 정상회담 자리에서 오는 8일이나 9일 매우 중요한 주제에 대해 "매우 큰 발표"를 하겠다고 언급했다. 카니 총리와의 회동 중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아주, 아주 큰 발표를 하게 될 것"이라면서 "가장 중요한 수준의 발표"라고 말했다. 이어 "무슨 내용인지는 말하지 않겠다"면서 "하지만 매우 긍정적인 발표"라고 궁금증을 낳았다. 그는 "이는 아주 중요한 주제에 관한, 수년간 나온 발표 중 가장 중요할 만한 것이 될 것"이라면서 "다들 꼭 지켜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뒤이어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 취임 선서식에 참석한 자리에서도 트럼프는 '며칠 내로 나올 크고 놀라운 발표'에 대해 "세상을 뒤흔드는"(earth-shattering) 소식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는 무역에 관한 것이 아니라 다른 것에 관한 것"이라며 "미국과 미국인을 위해 정말 지각을 뒤흔들 긍정적 발전이 될 것이며 이는 앞으로 며칠 내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를 순방할 예정인 만큼 중동 관련 이슈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kwonjiun@newspim.com 2025-05-07 07:5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