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흔히 보이는 것들로 뫼비우스적, 그 이상의 상상 여행을 하려 한다. 주변의 사물들엔 저마다 독특한 내력이 숨어 있고 어떻게 빚느냐에 따라 보석이 되기도 하고 나침판이 되기도 한다. 그렇게 출발한 여행의 과정에 어떤 빛깔의 풍경이 나타날지, 그 끝이 어디까지 다다를지 필자 자신도 설레인다. 인문학의 시대라고 하는데 인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메타적 성찰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사물과 풍경, 시대와 인문을 두루 관통하면서 색다르면서도 유익한 여행을 떠나려 한다.
동물과 식물의 차이가 무엇일까? 많은 것들이 있겠지만 그 중의 하나는 눈의 유무이다. 즉 동물에는 눈이 있고 식물에는 없다. 단순한 것 같으면서도 단순하지 않은 말이다.
다윈도 주장한 바 동물과 식물의 공통 조상이 있다고도 한다. 그 둘로 분화되기 이전의 생명체가 지구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생명의 나무라는 도형엔 그것을 바탕으로 그 둘이 갈라지는 모양이 그려져 있다.
그것이 맞다면 동물과 식물은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더 많다고 볼 수도 있다. DNA의 상당 비율이 같다고 연구되어 있고 신진대사의 구조도 흡사하다. 공통 조상으로부터 식물은 눈이 필요 없는 방향으로 진화되었을 것이며 동물도 처음에는 눈이 없었다고 한다.
살의 일부가 눈으로 진화되었다는 연구도 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 과정엔 현대 과학으로도 풀기 어려운 뭔가가 있었을 것이다.
동물이 이동을 선택한 바 생존을 위해선 눈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먹이를 찾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눈은 포식자로부터 도망가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짝짓기를 위해서도 그렇다. 인간도 동물의 일종이기에 다른 동물들처럼 생물적인 눈을 지니고 있다. 아득한 옛날 수렵을 위해서거나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거나 짝짓기를 위해서도 눈은 두리번거려졌을 것이다.
그러한 눈은 빛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보인다 내지 본다라는 것에 대해 역사적으로 다양한 해석들이 있어 왔다. 빛이 사물이나 풍경에 투사되어 흡수되는 것을 빼고 반사된다. 그것이 망막을 통해 시신경에 전달되고 뇌에 의해 인지된다. 보인다 내지 본다라는 간단한 동사 안에 그런 원리와 과정이 작동된다는 것이 현재의 지식일 것이다.
물론 빛이 먼저이다. 빛과 다른 것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명체가 태어나고 살덩어리인 동물로도 분화되고 필요에 따라 눈이 생겨났을 것 같다.
지난번의 에세이들에서 살펴 본 극장이나 사진, 영화, 광고는 모두 빛과 어둠을 활용한 것이며 눈 즉 시각과의 관계가 깊다.
흔하게 볼 수 있는 불상이다. 이마에 제 3의 눈이 그려져 있다.
만약 이마에도 눈이 있는 인간이 태어나면 괴물로 취급될 것이다. 그러나 저런 형상화로서 신앙의 대상이자 형이상학의 상징이 되어 있다. 의미가 부여되면 괴물이 괴물로 보이지 않는 것이다. 지혜나 광명을 의미한다고 보면 무난할 것이다.
시기를 정확히 따지는 것은 어렵겠지만 생물적인 눈 위주의 인간에게 눈에 대한 새로운 관념이 생겨난 것이다. 마음의 세계와도 이어진다.
보인다. 본다. 이 말들이 의미하는 층위가 인간에게 적어도 하나만은 아닌 것이다. 대강 크게 두가지로 단순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보이는 세계가 보인다’와 ‘보이지 않는 세계가 보인다’로.
앞 문장은 앞에서 말한 과학적인 해석으로 풀릴 것이다. 그러나 뒷 문장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세계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그것을 보는 것은 진실의 발견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보이지 않는 세계가 허상이라면 그것을 보는 것은 오류일 것이다.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진실과 오류는 인류사에서 장구하게 있어 왔다. 종교, 인문, 예술 등등의 세계들과 관계된다. 동서고금을 통해 이루 말할 수 없는 담론들이 생성되어 왔다.
현대 사회는 거칠게 말하면 보이는 세계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압도한다고 볼 수 있다. 추방했다고도 볼 수 있다. 생각과 표현 방식은 사람들의 세계관에 따라 다를 것이며 물론 이것 역시 단순하지 않다. 합리적 유물론적 바탕 위에 서 있는 과학만이 과학이 아니고 그에 대립되는 뉴에이지가 있고 그에 기반된 뉴에이지 과학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로선 합리적 유물론적 과학이 주류이며 그에 따라 보이지 않는 세계는 크게 소외되고 있는 양상이다(양자 역학, 암흑 에너지 등등을 보이지 않는 세계라고 정의한다면 물론 이야기는 또 달라진다. 여기선 필자가 임의로 정한 방식에 의하기로 하자). 보이지 않는 세계 또한 다양하지만 종교와 인문, 예술의 세계로 대강 대별된다면 그 각각의 세계와 과학과의 관계 역시 복잡하고 다채롭다.
그 모두를 일일이 세부적으로 파고들 성격의 글이 이 글은 아니다. 다만 보이지 않는 세계들이 보이는 세계의 허구적 폭력에 의해 위축되었다면 신장시키고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그것이 진실이라면 말이다.
그렇게 보이지 않는 세계가 소외 극복이 되어 열려 나간다면 그것을 보는 눈은 생물적 차원 이상의 다른 성격을 띨 것이다. 혜안이나 심안, 영안 등등의 이름을 부여받을텐데 그것이 타당하다면 그런 관념들의 실제적인 주체가 무엇인가라는 문제가 생긴다. 현재의 학문들은 그런 방향으로는 별로 특화되어 있지 않다. 우리가 사는 문명의 특징이기도 하다.
인간의 눈은 아득한 시절엔 동물과 거의 비슷하게 먹거리나 죽음 모면, 짝짓기 같은 일차적이며 본능적인 것에 기울었을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심미적, 감성적, 이성적, 종교적 등등의 영역들로도 심화, 확장되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의 눈은 그처럼 일차적인 것과 이차적인 것이 어우러져 있다. 과학의 발달로 인해 과학적인 눈이라고 불릴만한 위상 역시 지니고 있다. 그런 다층적인 눈으로 우리는 사물을 바라보고 사진이나 영화 감상도 한다. 광고를 즐겨 보기도 하고 눈꼴 사납게 보기도 한다. 사랑하는 사람도 찾고 교회나 절에도 나가고 슬프면 눈에 눈물이 고이기도 하는 것이다.
육안, 혜안, 심안, 영안 등등 눈에 대한 명칭들이 다양한 것은 기나긴 인류 역사를 통해 눈에 대한 지식과 통찰이 발전하고 풍요로와진 덕이다.
그 중 어떤 이름들은 다른 이름에 의해 소외되고 추방되기도 한다. 특히 이 시대가 그런 면이 심하다. 시대의 흐름이지만 그것을 시대 정신이라고 말하는 것은 넌센스이다. 시대 정신이란 것은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며 꿰뚫을 수도 있는 것이다.
눈을 둘러싼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을 소박하게나마 훑어 보았다. 정보화 사회로 깊숙히 들어선 지금 우리의 감각기관 중에 가장 강력하게 부각되는 것이 눈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명훈(소설 ‘작약도’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