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GPS' 테스트베드 국내 수익률 1위...김병기 ChFC한국평가인증 대표 인터뷰
[뉴스핌=김승현 기자] “로보어드바이저는 펀드매니저와 같은 금융투자 전문가들이 해오던 역할을 대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 과거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를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하느냐가 핵심입니다.”
지난해 9월 5일부터 6개월여 동안 진행된 로보어드바이저 1차 테스트베드 국내부문 전 분야에서 수익률 1위를 차지한 알고리즘 ‘MyGPS'를 만든 김병기 ChFC한국평가인증 대표. 로보어드바이저는 철저한 종목 분석과 분산 투자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그에게 로보어드바이저의 장점과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금융투자업계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산관리 시장에서 로보어드바이저의 가능성을 점치는 자리였던 테스트베드에서 대형사들을 제친 ChFC한국평가인증의 수익률은 업계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크게 국내와 해외로 나뉘어 각각 안정추구형, 위험중립형, 적극투자형의 포트폴리오로 진행된 테스트 결과, MyGPS는 적극투자형에서 8.2%의 최종 누적수익률을 기록했다. 적극투자형 전체 평균이 2.88%였고 -5%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은 로보어드바이저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퍼포먼스다. MyGPS는 안정추구형과 위험중립형에서도 각각 평균보다 2~4%포인트 높은 3.3%, 5.77%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김병기 대표가 밝히는 1등 비결은 ‘뛰어난 종목분석’과 ‘분산투자’다. MyGPS가 담은 상품들은 글로벌 지역별, 주식·채권 자산별로 펀더멘털이 튼튼한 최고 유망 상품이면서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운 상품들이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깝다는 것은 바구니 안의 상품이 다 다르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펀드 이름은 OO운용의 IT펀드, △△운용의 대형주펀드로 다르지만 실제 담고 있는 주식이 삼성전자와 현대차로 같다면 두 펀드를 담은 포트폴리오의 상관계수는 +1에 가깝다. 분산투자의 의미가 무색하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영업비밀’인 MyGPS의 포트폴리오를 선뜻 공개했다. 5000개 이상의 펀드를 분석한 MyGPS는 ‘피델리티차이나’ ‘신한BNPP봉쥬르중남미플러스’ ‘AB월지급글로벌고수익’ ‘NH-Amundi1.5배레버리지인덱스’ ‘KB스타유로인덱스’ ‘KB스타미국S&P500인덱스’ ‘이스트스프링미국투자적격회사채’ 펀드들을 조합했다. 그의 설명대로 미국, 유럽, 중국, 남미의 주식과 채권을 골고루 분산해서 담은 구성이다. 각각의 펀드들은 비슷한 컨셉의 상품 중 대표 펀드들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테스트베드에 출품했던 MyGPS의 버전은 2.0이고 현재 7.0 버전 설계도까지 만들었는데 내년 3월 정도에 출시할 예정”이라며 “지역별 비중과 안전·위험자산 비중이 가변적으로 움직여 80%였던 예측 정확률을 95%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설명에도 실제 운용중인 로보어드바이저의 수익률이 코스피 상승률이나 인덱스펀드보다 낮았다는 점에서 로보어드바이저가 아직 믿을만한 조언가가 아니라는 의구심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꾸준함’과 ‘목표 달성'이 로보어드바이저의 장점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작년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10%대의 수익률이 났지만 같은 기간의 코스피 수익률을 따라잡지 못했는데 이는 코스피가 상승할 때 MyGPS는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사라는 명령을 내리기 때문”이라며 “상승장에 바로 대응하지는 못하지만 코스피시장에 조정기나 하락장이 왔을 때 채권 비중을 높인 효과로 꾸준히 우상향의 수익률을 그리며 차이는 좁혀진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로보어드바이저 자체가 장기 투자, 가치 투자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테스트베드에서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거나 중도 탈락한 알고리즘들은 불필요하게 많은 상품을 담거나 리밸런싱을 너무 자주 했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분석이다.
그는 “로보가 매수, 매도를 반복하면서 수익을 취하면 시스템 트레이딩보다 나을 것이 없다”라며 “축구에 비유하면 당장 보여준 것은 없지만 피지컬과 기초 체력이 뛰어나 결국 큰 활약을 했던 박지성 선수를 발탁하라고 하는 로보어드바이저가 좋은 알고리즘”이라고 말했다.
인터뷰 말미에 김 대표는 로보어드바이저 식으로 투자하는 문화가 보편화돼야 한다는 투자 철학을 언급했다.
그는 “로보어드바이저는 3년 이상의 장기투자에 적합하다. 그러면서도 저렴한 보수는 투자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나라의 자산 중 50~60%를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데 로보어드바이저가 더 발전해 정착되면 이 자금들을 끌어와 투자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김승현 기자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