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금리 판매 증가…고정금리 대폭 인상 영향
전문가 "대출기간 3년이내는 변동금리가 유리"
[편집자] 이 기사는 2월 1일 오후 4시4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송주오 기자] 금리가 오를 땐 고정금리로, 내릴 땐 변동금리로 대출하는 게 대출자에게 유리하다는 게 상식이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지난해 10월 이후 금리가 오를 때 변동금리 대출이 고정금리 대출보다 많았다. 금리 오름세를 감안해도 고정금리 대출 금리가 여전히 높았고, 고정금리 대출금리 상승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0~11월 두달간 3개월 만기 국고채 금리는 0.27%p, 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65%p 각각 상승했다. 시중금리 상승을 반영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상승했다. 금리 상승폭은 변동금리대출이 0.26%p인 반면 고정금리대출은 0.47%p였다.
이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중 감소하던 변동금리형 상품 비중이 증가로 전환했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10월 58.6%까지 떨어졌던 변동금리형 대출이 12월 59.15%로 늘었다. 신한은행은 10월 41%였던 고정금리대출 비중은 41.5%로 0.5%p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앞선 3분기 증가분(1.27%p)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도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지난해 10~11월 중 평균 35.7%를 기록, 전분기 평균 21.4%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대출 상담을 받을 때 당장 내야할 이자 부담에 신경을 많이 쓴다”며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낮을 때 메리트가 있는 데 향후 1~2년 내 그런 일이 발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대출기간이 3년 이내라면 변동금리형 상품이 유리하다고 조언한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유럽, 일본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은 예상 가능한 만큼 단기채권금리가 급격하게 오르지 않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여기에 한국은행은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경기부진 등으로 인해 기준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할 거란 것도 이유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 인상을 한 차례 이상 못할 것”이라며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의 격차인 0.5%p가 역전되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3년 이후 중도상환 수수료 없이 고정금리로 갈아탈 수 있다는 것.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변동금리형 상품으로 대출을 받았더라도 3년 후엔 별도의 수수료 없이 고정금리로 갈아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출시 적용되는 변동금리는 신규취급 코픽스(COFIX)에 가산금리를 더해 책정된다. 가산금리는 계약기간 내내 유지되고 코픽스 변동분만 6개월 한 번씩 갱신돼 반영된다. 지난해 7월 코픽스는 1.44%에서 12월 1.56%로 6개월 새 0.12%p 올랐다.
아울러 금융당국에서 대출금리에 붙는 가산금리 책정 방식에 대해 점검하고 있어 향후 인하될 가능성도 있다.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는 “소비자들이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모두 경험하면서 학습효과가 생겼다”며 “변동금리가 당장은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느낀 결과”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