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꼴지’ 한국남녀 임금격차 36%에서 벗어나지 못한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뉴스핌=전지현 기자] 뷰티기업으로 꼽히는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도 남녀직원별 임금·근속연수별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 올해 3분기 기준 양사의 남녀별 임금격차는 지원, 현업 부서 상관없이 2000만~3000만원 가량 차이를 보였다. 여성근속연수의 경우, 부서별 남녀차이가 최대 6년이 나는 곳도 있었다. 여성에 대한 이해도와 다양한 복지정책을 전개하는 뷰티기업도 성별에 따른 고용환경을 개선시키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1일 아모레퍼시픽그룹 및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이 제출한 최근 4년간 3분기 사업보고서 추이에 따르면 전반적인 임금수준이 상승한 가운데 전체 남녀직원 임금격차 및 평균근속연수는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사별로 사무직지원부문의 남녀격차가 눈에 띄게 늘고 있었다.
![]() |
남여평균급여 차이가 가장 큰 곳은 LG생활건강의 사무직부문이었다. 지난 2013년 3분기 1800만원이었던 1인당 평균 임금격차는 올해 3200만원까지 벌어졌다. 사무직지원부서만 있는 아모레퍼시픽그룹의 경우, 지난해 3분기 한때 400만원 격차로 남녀별직원들의 평균임금이 비슷했으나 올해 3분기 다시 2500만원까지 벌어졌다. 근속연수차이도 4년이라는 점에서 고위직임원들이 대다수 남성들로 포진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나마 현장직 판매사원이 많은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LG생활건강이나 아모레퍼시픽그룹에 비해 임금격차가 덜했지만, 생활용품&오설록부문 여성평균근속연수가 남성보다 2배이상 길었음에도 1인평균연봉은 38% 낮았다. 올해 3분기 여자직원 1인당근속연수(정규직 71명, 비정규직 3명)는 16.1년으로 남성(132명) 8.1년에 비해 8년이 길었고, 평균임금은 (여: 3400만원, 남: 4700만원)으로 1300만원 적었다. 이 부문의 과거 4년치를 거슬러 올라가도 지난해를 제외하면 이 추세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OCED에 따르면 한국 남녀평균임금 격차는 36.7%. 같은 일을 해도 남성직원이 100만원을 받을 때 여성 직원은 63만3000원만 받고 있었다. 국내 남녀임금격차는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크다. 결국, 국내 뷰티기업들도 남녀임금격차 꼴지를 기록한 국내 평균에서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이 같은 수치가 암울한 것은 양사 모두 여성들사이에서 '최고의 직장'으로 꼽히는 기업이라는 점이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평소 채용평가와 급여수준, 복지혜택 등에서도 성별차별을 없앨 것을 강조, 여성들이 일과 육아를 병행하도록 사내보육시설, 여성전용휴게실 등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을 구축했다.
2011년부터는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출근시간을 선택하는 'ABC 워킹타임' 제도도 도입했다. LG생활건강 역시 차석용 부회장이 취임한 뒤 출퇴근 시간을 개인별로 조절하는 ‘유연근무제’와 ‘정시퇴근제’를 실천했다. 그 결과, LG생활건강은 임원 가운데 여성비중이 13%나 된다.
하지만 양사는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성직원이 임금우위에 놓인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직무배치’에서 찾았다. 남녀임금격차를 줄이려면 의사결정 권한이 높은 핵심직군으로의 승진이 이뤄져야 하는데 여성들이 하위직군에만 배치하는 ‘간접적인 성차별’로 여성이 근속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대표는 "여직원들을 배려하는 기업내 복지시설 및 정책과 여성승진은 별개의 문제"라며 "여성친화기업이더라도 객관적인 성과지표로 능력을 인정받는 중요업무에서 배제되거나 하위직군에 여성이 많이 배치되는 등의 간접적 성차별이 지속되고 있다. '당신은 여성이니 안됩니다'라는 직접적인 표현 및 성희롱보다 임신, 출산, 양육으로 시간을 할애할 것이라는 편견으로 여성에게 중책임무를 주지 않는다"라고 꼬집었다.
김영미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역시 1차노동시장으로 구분되는 대기업 정규직의 경우, 공식적이고 능력주의적이며 관료화된 평가시스템을 통해 책무성을 강조하는데 직무배치상의 차별과 기회독점으로 성불평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들은 남성 임금의 약 65%를 받는데 승진을 빨리 할 수 있는 곳에 여성을 배치하지 않는 등 여성에게 배치상의 불이익을 주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전체비율로 봤을 때 남녀성별이 비슷하지만, 재무, 회계, 경영기획 등 스텝부서로 갈수록 남성직원비율이 높고 임원들도 남성이 많다“며 “직군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하는데 사업부의 경우 팀장 이상 직군에 여성인력이 많다. 회사상황이나 업무에 따라 달리 비교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그룹사무직군의 경우 임원들의 남성비율이 높은 반면, 업의 특성상 여성판매사원들이 많아 남녀별 임금격차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른 업종에 비해 여성고객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전체적인 여성비율이 높지만 고위직군으로 올라갈수록 남성비율이 많은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뉴스핌 Newspim] 전지현 기자 (cjh7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