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소유제 개혁 취지 좋았지만, 민간 자본과 불협화음
셰원젠 CEO와 임원진 퇴진 압력도 높아져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28일 오후 3시3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한때 중국산 화장품 브랜드 기대주로 꼽히던 상하이자화(上海家化 600315.SH)가 실적과 주가가 곤두박질 치며 위기에 직면했다.
상하이자화는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대표 화장품 관련주로 후강퉁(滬港通 상하이-홍콩 주식 교차매매) 거래 실시 후 국내외 증권사들이 앞다퉈 '유망주'로 꼽던 종목이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중국판 아모레퍼시픽', '중국판 설화수'로 불리며 대표적인 후강퉁 기대주로 큰 관심을 받아왔다.
상하이자화의 위기는 경영악화에서 비롯됐다. 26일 상하이자화에 따르면, 2016년 1~3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45%가 감소했다. 올해 4분기까지 합하면 올 한해 순이익 감소율이 80~90%에 달할 전망이다. 실적 악화 소식이 전해진 후 상하이자화 주가는 27일 5.16%가 하락하며 2015년 A주 폭락사태 후 최저점에 근접했다.
상하이자화 측은 2015년 중약(한약) 제약 자회사인 톈장야오예(天江藥業) 지분 매각을 통해 18억위안의 수익을 실현한데 반해 2016년 매출 감소와 경지 지출 증가가 올해 실적 악화를 초래했다고 밝혔다.
경영악화에 대한 불만과 비난은 셰원젠 CEO와 임원진에게 쏠리고 있다.
중국 유명 경제지 디이차이징르바오(第一財經一報 제일재경일보)에 따르면, 상하이자화 주식을 장기간 주목해온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실적 하락이 지나치게 가파르다. 핑안(平安 평안)신탁이 영입한 셰원젠(謝文堅) 이사장과 경영진의 무능함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어져오고 있다"며 "시장의 관심은 셰 이사장 거취에 대한 핑안신탁의 결단"이라고 강조했다.
◆ 100년 역사 중국 화장품의 자존심, 경영권 분쟁 후 사세 기울어
상하이자화의 모태는 1898년 설립된 광성항유한공사(廣生行有限公司)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중국 생활건강용품 업계의 '장수기업'이다. 중국 화장품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A주에 상장했다. 업계는 상하이자화를 중국 화장품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다국적 기업과 경쟁할 만한 화장품 대기업으로 꼽고 있다.
외자기업이 90%에 육박하는 절대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상하이자화는 류선, 바이차오지, 메이자징, 가오푸 등 토종 대표 브랜드를 양산하며 중국 로컬 업체 중 주도적인 입지를 점하고 있다.
잘나가던 상하이자화에 위기의 불씨가 점화된 것은 2013년 거원야오(葛文耀) 이사장의 퇴임이었다. 대주주 핑안신탁과 불화에 휩싸인 거원야오 이사장이 결국 회사를 떠나게 되면서 그룹 내 경영권 분쟁이 심화됐다.
상하이자화의 대주주였던 핑안신탁은 2014년 6월 대표로 있던 왕줘(王茁)를 밀어내고 존슨앤존슨 메디컬컴퍼니 중국 대표였던 셰원젠을 이사장 겸 대표 자리에 영입했다. 왕줘는 이른바 '거원야오라인' 인물로 불린다. 핑안신탁이 그룹 내 거원야오의 영향력을 완전히 제거한 것으로 풀이된다.
셰원젠은 중국에서 이미 탁월한 경영 능력을 검증받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었다. 그가 총책임자로 취임한 후 존슨앤존슨메디칼은 연간 20%이상의 고속 성장을 이어갔고, 회사는 중국 최대의 의료기기 전문업체로 성장했다.
셰원젠 신임 이사장은 취임 후 브랜드 전략, 공급 라인, 인사, 임금체계 및 지분 등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그러나 임원진이 교체 된 후 상하이자화는 격심한 내홍에 시달렸고, 2015년 9월 중순에는 퇴근하던 셰원젠이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자에게 공격을 당해 허벅지에 자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셰원젠 이사장 겸 대표 취임 후 상하이자화는 전 대표인 거원야오 시절보다 뛰어난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급기야 올해 순이익이 폭락하고 주가가 곤두박질 치자 그간 셰 이사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는 상황.
셰원젠 대표는 2013년 취임 당시 2018년 상하이자화의 매출을 120억위안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5년 동안 연간 23%의 성장률을 기록해야만 가능한 수치다. 그러나 셰 대표가 취임 한 후 3년이 지나고 2018년이 다가오고 있지만 당초 설정했던 목표치 달성은 요원한 상태다.
◆ 상하이자화 혼합소유제 개혁, 민간 투자자와 경영 분쟁으로 '위기'
거원야오 전 이사장<사진=바이두(百度)> |
실적 악화와 셰원젠 대표에 대한 신뢰 하락으로 한때 국유기업 개혁의 모범으로 꼽혔던 상하이자화의 혼합소유제 개혁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상하이자화의 성장을 위해 추진했던 개혁이 오히려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상하이자화의 개혁을 주도한 인물은 공교롭게도 거원야오 전 이사장이다. 그는 1985년부터 상하이자화에 몸 담고 기업의 성장을 이끈 인물이다.
거원야오는 외국산 화장품이 중국 시장을 장악한 상황에서 거의 유일하게 국산 화장품 브랜드를 키워낸 화장품 업계의 '신화'적 존재였다. 그의 전략 하에 탄생한 한약(중약) 성분 화장품 시리즈는 상하이자화 성장의 밑거름이자 중국 '화장품의 자존심'을 지켜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는 중국 생활건강 제품 분야의 원로이자 대부격 인물로 존경을 받고있다.
상하이자화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거원야오는 보다 근본적인 개혁을 단행해야 외국 브랜드와의 치열한 경쟁속에서 '중국 화장품 브랜드의 자존심을 지켜낼 수 있다고 봤다.
그는 2009년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상하이자화는 정부의 경영 간섭으로 3차례나 고사 위기를 겪어야 했다. 국유기업 개혁없이는 '우리' 상하이자화는 성장할 수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당시 중국 매체는 '우리'라는 표현에서 거원야오 대표의 상하이자화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읽을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거원야오는 상하이자화의 지분 매각, 민간자본 유치하는 '혼합소유제' 개혁에 나섰다.흔치않은 알짜배기 국유기업의 지분 매각 소식에 수많은 투자자가 상하이자화 지분을 사겠다고 나섰다. 수많은 경쟁자를 뿌리치고 중국핑안보험그룹 산하 투자사인 핑안신탁이 2011년 상하이자화의 새 주인 자리에 앉게 됐다.
투자 초기에는 핑안신탁과 거원야오가 잠시 '밀월' 기간을 보내기도 했지만, 머지않아 내홍이 발생하게 된다. 2012년 11월 거원야오 대표가 자신의 SNS에 핑안신탁을 공개적으로 비난했고, 양측의 갈등은 극으로 치달았다.
결국 2013년 9월 거원야오 대표가 물러났고, 거원야오 '라인'으로 불렸던 왕줘 CEO마져 2014년 6월 CEO에서 해임되면서 상하이자화 경영권 다툼은 일단락 됐다.
◆ 셰원젠 CEO 시험대, 위기정리와 실적개선이 관건
셰원젠 상하이자화 CEO <사진=바이두(百度)> |
경영권을 둘러싼 내분은 정리됐지만 실적이 급격히 악화하면서 셰원젠 CEO는 또 다시 위기에 봉착했다.
26일 상하이자화의 발표에 따르면, 3분기까지 영업매출이 42억8800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4%가 줄었다. 순이익은 45.17%나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상하이자화이 순이익은 22억1000만위안이었다. 올해 순이익은 많아야 5억위안 수준에 머물을 전망이다.
온라인 매출량이 전년 대비 50.25% 늘었지만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25%에 지나지 않는다.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백화점, 마트 등 판매부진이 심각하다. 한때 승승장구하던 상하이자화는 2년 연속 실적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상하이자화의 실적 악화에 개인 투자자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고, 기관투자자들도 투자등급을 내리며 앞날을 낙관적으로 보지 않고 있다.
선완훙위안(申萬宏源 신만굉원)은 "오프라인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신제품 출시 원가는 높아지는 데 반해 매출제고 효과가 적다. 매출에 큰 공헌을 했던 일본 카오(花王)와의 총판대리 계약이 곧 완료되는 것도 악재다"라며 투자등급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실적 악화와 함께 주가도 급락했다. 지난해 2분기 가치투자 전략으로 유명한 충양터우쯔(重陽投資)는 상하이자화의 지분을 대거 사들였다. 2015년 4월 21일~7월 29일까지 충양터우쯔가 매입한 상하이자화 주식은 모두 3115만7200주로 당시 상하이자화의 주가는 37~47위안 수준이었다. 그러나 27일 기준 상하이자화 주가는 27위안 아래로 떨어지며 A주 폭락 사태 후 최저점에 근접해있다. 2013년과 비교하면 주가가 절반으로 폭삭 주저앉았다.
관련 업계와 시장 투자자들은 실적악화의 원인을 셰원젠 CEO의 경영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외국계 회사 출신인 셴원젠과 임원진이 중국 기업의 특징을 무시한채 막무가내로 기업을 이끌고 갔다는 것.
거원야오 전 CEO는 "셰원젠은 화장품 생산과 판매라는 본업보다는 경영 시스템 개혁에만 치우쳤다"고 지적했다.
후강퉁 출범 이후 상하이자화 주가 흐름 <그래프=텐센트차이징> |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