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국가 최대 규모…수해복구사업 및 WFP 분유 제공 등에 사용
[뉴스핌=이영태 기자] 스위스 정부가 북한 수해 복구 사업에 단일 국가로는 최대 규모인 365만달러(약 40억원)를 지원했다.
![]() |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의 홍수 피해지역 주민들이 피해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유엔이 지난달 16일 공개한 북한 함경북도 수해 실사보고서에 들어있는 사진이다.<사진=유엔 제공> |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7일 "스위스 외무부 산하 개발협력처(SDC)는 함경북도에서 홍수 피해가 발생한 북한에 365만달러를 지원했다고 밝혔다"며 "스위스 당국의 이번 지원은 유엔이 긴급 투입한 485만달러(약 54억원)의 4분의 3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스위스 개발협력처는 전날 VOA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이 액수는 이번 수해 복구 사업에 단일 국가가 지원한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이번에 스위스가 지원한 수해 복구 지원금 가운데 절반 이상인 190만달러는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에 분유를 제공하는 데 지원된다. 올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모두 3차례에 걸쳐 1504t의 분유가 지원될 예정으로 전해졌다. 분유는 북한 현지 식품공장에서 혼합영양강화식품과 고단백 영양과자 등으로 가공된다. WFP는 함경북도 지역 수재민들에게 고단백 과자와 콩 등 긴급 구호식량을 지원하고 있다.
개발협력처는 이로써 올해 WFP를 통해 북한에 지원하는 분유는 2130t으로 늘었다며, 이는 미화 750만달러 상당으로 스위스 정부가 한 해 지원한 분유 규모로는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지원금 가운데 150만달러는 국제적십자사와 국제적십자위원회의 수해 복구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며, 25만달러는 이재민 거처 마련에 필요한 지붕 자재 등을 구입하는 데 사용된다.
스위스 개발협력처 관계자는 "직접 함경북도 수해 복구 현장을 다녀왔다"며 "북한 당국이 10만 여 명의 인력을 동원해 수재민이 지낼 집을 짓는 데 온 힘을 다하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자금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소했다.
앞서 북한 관영 조선중앙방송은 지난달 14일 "8월29일부터 9월2일 사이 함경북도 지구를 휩쓴 태풍으로 인한 큰물(홍수) 피해는 해방 후 처음으로 되는 대재앙이었다"며 "사망자와 행방불명자를 포함한 인명피해는 수백명에 달하며 6만8900여 명이 한지에 나앉았다"고 전했다. BBC, AFP, AP통신 등 외신들도 함경북도 북부지역 홍수로 발생한 이재민 14만명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보도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