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장관, 석유화학 10대 기업과 간담회…4개 품목 구조조정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정부와 석유화학업계가 구조조정 방안을 놓고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테레프탈산(TPA) 등 4개 품목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컨설팅 결과가 나온데 따른 후폭풍이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0대 석유화학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민간 주도의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거듭 촉구했다.
이는 오는 30일 '업종별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유화업계에 사실상 최후통첩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간담회에는 허수영 석유화학협회 회장(롯데케미칼 대표)을 비롯해 LG화학, SK종합화학, 한화케미칼, 대림산업, 대한유화, 여천NCC, 한화토탈, 효성, 태광산업 등 주요 석유화학업체 10개사 대표가 참여했다.
주 장관은 "최근 일부 석유화학업계의 경영성과는 저유가라는 외부요인에 기인한 면이 많다"면서 "향후 고유가 시대와 후발 개도국의 추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선제적인 사업재편을 통해 군살을 빼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TPA·PS 공급과잉 심각…합성고무·PVC 고부가가치 전환해야
이날 오후 발표된 '석유화학 컨설팅 보고서'에 따르면, 33개 주요 품목 가운데 4개 품목의 공급과잉이 심각해 신속한 사업재편이 필요하다고 제시됐다.
폴리에스터섬유와 페트병의 원료인 테레프탈산(TPA)은 단기간 설비 조정이 필요하다. 또 장난감용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스티렌(PS)은 설비 감축이 추진 중이나 추가적인 감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그밖에 타이어 원료인 합성고무(BR, SBR)와 파이프용 소재인 폴리염화비닐(PVC)도 더 이상 증설을 지양하고 고부가 품목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됐다.
이들 4개 공급과잉 품목은 석유화학산업 전체 생산규모의 약 12%에 해당된다. 특히 생산업체들이 대부분 국내 대표적인 석유화학 대기업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TPA은 불과 5년 전만하더라도 수출액이 45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대표적인 수출효자 품목이었으나, 최근 중국의 자급률이 100% 이상 높아지면서 수출이 70%나 급감했다.
주 장관은 "석유화학업계가 설비 통폐합 등 사업재편에 적극 나서 달라"면서 "정부도 기활법에 따라 세제, 금융, R&D 등 인센티브와 함께 상법, 공정거래법상 절차 간소화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제시했다.
◆ 유화업계, 심각성 공감 "실기하지 않겠다"
이에 대해 석유화학업계는 일단 심각성은 공감하지만, 설비감축을 놓고 업체마다 셈법이 달라 향후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허수영 석유화학협회 회장은 "실기(失期)하지 않도록 지혜를 모아 설비조정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저유가 상황에 안주해 원가 절감 및 효율 개선 노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마른 수건도 다시 짜는 자세'로 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범용제품에서 벗어나 기능성 화학소재와 고부가 정밀화학제품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과 설비투자 확대에도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제시했다.
정부는 이번 컨설팅 보고서와 업계 및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오는 30일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