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새 안보리 결의 동의"…러시아 "정치·외교적 협상 재개해야"
[뉴스핌=이영태 기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3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각각 전화 통화를 하고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
![]() |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개최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한 각국 외무장관들이 7월26일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V K 싱 인도 외무장관, 왕이 중국 외교부장, 줄리 비숍 호주 외무장관. 뒷줄 왼쪽부터 윤병세 외교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사진=AP/뉴시스> |
왕 부장은 이날 오후 10시부터 윤병세 외교부장관과 70분간 통화를 갖고, 중국이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완전하게 이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고 외교부가 14일 밝혔다.
왕 부장은 통화에서 "북한의 5차 핵실험은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새로운 안보리 제재결의를 채택해 북한에 대해 더욱 엄격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막아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이 관련 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준수하는 등 의무를 이행할 것"이라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반대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강력한 제재 결의를 신속하게 도출해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높은 대가를 치르도록 하고, 추가 도발을 억지할 필요가 있다"며 "한·중 양국의 공동 입장이 유엔 안보리의 신규 제재결의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유엔 대표부 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요청했다.
외교부는 양 장관이 통화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후속 협의를 갖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한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관한 양측의 기본 입장을 교환하고, 관련 소통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윤 장관은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통화를 갖고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해 단호한 대북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외교부는 윤 장관과 라브로프 장관의 전화회담 뒤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윤 장관이 이번 북한의 5차 핵실험이 지난 10년간 5차례의 핵실험 중 가장 강력하고 고도화된 것임을 설명하고 지금 북한의 핵개발 의지를 꺾지 못하면 국제사회 전체가 후회하게 될 것임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윤 장관은 이어 북한이 유엔과 안보리의 권위를 무시하고 보란 듯이 핵실험을 감행한 데 대한 혹독한 대가를 치르도록 함으로써 추가 도발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강력한 안보리 결의를 신속히 채택해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북 메시지를 전달해야 함을 강조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한·러 외무장관 회담 후 내놓은 보도문에서 "양측이 유엔 안보리의 결의들을 훼손한 북한의 위험한 행동에 공통된 우려를 표시했다"면서 동시에 "러시아는 한반도 핵문제를 정치·외교적으로 해결하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언급했다.
러시아는 "(이를 위해) 동북아 지역에서의 비대칭적 군사 활동 강화를 자제하고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며 한·미·일이 북한의 위협수준을 넘어서는 군사적 대응을 자제하고 북한과의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