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5월의 중국증시, 이것 알고나면 기대수익도 덩달아 쑥~

기사입력 : 2016년05월12일 09:08

최종수정 : 2016년05월12일 09:38

하락 경고음 VS 조정기 거쳐 반등 모멘텀 탐색

[편집자] 이 기사는 05월 02일 오전 11시4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베이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5월의 시작과 함께 노동절 연휴로 중국 증시가 2일 휴장하는 가운데, 3일부터 본격화할 A주 5월 장세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일 거래량 수 거래일 감소 등 짙어진 관망세 속에 유동성 압박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와 상당기간의 조정기를 거쳐 반등 기회를 모색할 만하다는 목소리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업종 별로는 지난달 말부터 상승 중인 석유섹터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 내부 변화요인 多, 살 때·팔 때 전망 엇갈려

4월초 양호한 출발을 했던 상하이종합지수는 그러나 20일을 기점으로 하락세에 진입했다. 일일 거래량이 수 거래일 연속 감소하고, 소폭이지만 계속해서 마이너스 상승을 기록하면서 갓 살아난 투심에 찬물을 끼얹었다. 주간 마지막 거래일이자 월간 마지막 거래일인 4월 29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0.35% 내린 2935.38포인트로 하락 출발한 뒤 줄곧 횡보세를 연출하며 0.25% 하락한 2938.32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5월에는 신 정책 시행 등 다양한 변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장세에 대한 전망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먼저 유동성 부담에 대한 우려 속에 이달에도 증시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중국 당국이 앞서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통해 지원한 자금이 이달 만기를 맞고, 특히 이번 주(5월 2-8일)에 만기를 맞는 역RP 물량만 130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해 ▲이번주 3개 종목 기업공개(IPO) ▲기업 납세시즌 돌입 ▲거시건전성(MPA)평가 ▲부동산시장·인터넷 금융·선물시장 관리감독 강화 ▲중앙은행의 레버리지 축소 방침 등까지 맞물리면서 투심이 좀처럼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란 설명이다.

또한 ▲최근 증시에 상승재료가 완전히 사라졌다는 점 ▲상한가 기록 종목의 대폭 감소 ▲다수 종목의 약세 행보 등이 시장의 무거운 분위기를 보여준다는 점도 지적됐다.

반면, 증시가 상당기간의 조정기를 거쳐 연휴 이후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상당하다. 중국 증시데이터 전문 분석기관 포렉스 테스터(Forex Tester, 復盤大師) 데이터에서도 알 수 있듯 상하이종합지수의 4월 한달 상승률은 마이너스 1.94%에 그쳤지만, 마지막 10거래일간의 상승률은 마이너스 4.44%에 달하는 만큼 연휴 이후 단기간에 걸쳐 반등의 기회를 엿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것.

이와 함께 이달 1일부터 ‘전국사회보장기금조례’가 시행됨에 따라 2조 위안 규모의 양로금이 증시에 투입되면 증시 상승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고, 더불어 ▲선강퉁 출범 임박 ▲6월 A주의 MSCI지수 편입 등도 증시에 호재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국원증권(國元證券) 애널리스트 왕밍리(王明利)는 “증시가 디폴트 충격을 피하기는 힘들겠지만 사회자금의 증시 유입은 분명 긍정적 요인”이라며 “특히 경기가 살아나고 거시경제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는 것 등이 증시 상승을 뒷받침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달의 유망 업종은 ‘석유’

이달 주목할 만한 업종으로는 단연 석유섹터가 꼽힌다. 국제 유가 반등으로 석유섹터는 4월에만 20% 이상 급등했고, 특히 올 하반기 석유 생산량이 더욱 줄어들어 국제 유가가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관련 섹터의 강세가 점쳐지고 있다.

앞서 석유가격 하락으로 인한 석유업체들의 실적 악화로 관련 테마주들의 주가가 대부분 저평가 되어 있는 가운데, 중장기적 관점에서 석유 테마주에 주목, 저가 매수를 노리는 것이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A주의 석유주를 고를 때는 페트로차이나(中國石油, 601857.SH)·시노펙(中國石化 600028.SH) 같은 대형주보다 유류 완제품 판매·유전채굴 등 서비스 제공·셰일가스 개발 등 세부 업종별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먼저 유류 완제품 판매분야 대표 상장사로는 용우연유(龍宇燃油, 603003.SH)와 태산석유(泰山石油, 000554.SZ) 등이 꼽힌다. 특히 용우연유의 경우 선박용 연료 공급업체로 주가의 유연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유전채굴 서비스 업종 테마주에는 석화유복(石化油服, 600871.SH)과 인지유복(仁智油服, 002629.SZ) 등이 있으며, 유가 반등에 따라 이들 상장사의 실적 및 주가 또한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셰일가스는 고유가시대에서 더욱 주목 받는 업종이다. 유가가 쌀 때는 원유 사용량이 늘어나 셰일가스 업체에 타격을 주게 되지만, 유가가 비싸지면 셰일가스 평가치도 덩달아 올라간다. A주 셰일가스 테마주로는 항태애보(恒泰艾普, 300157)·해묵과기(海默科技, 300084) 등이 있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특파원(hongwoor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딥시크 부당하게 데이터 수집했을 수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는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부당하게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오픈AI 기술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해 자체 시스템에 비슷한 기술을 훈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업계에서 훈련에 사용되는 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은 흔하지만, 오픈AI는 서비스 약관에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픈AI의 시스템이 생성해 낸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픈AI의 리즈 부르주아 대변인은 NYT에 보내 이메일에서 "우리는 중국의 조직들이 미국 AI 모델을 복제하기 위해 디스틸레이션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 방법을 사용해 활발히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딥시크가 부적절하게 우리 모델을 디스틸레이션 했다는 징조를 검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지난주 R1 모델을 내놓으며 전 세계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믿어온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는 R1 모델 개발에 단 2개월의 시간과 600만 달러 미만의 자금이 소요됐다고 밝히며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천문학적인 투자를 무색하게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개발이 긍정적이라면서도 미국 기업들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이날 상원 인사청문회에 나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딥시크가 도난당한 미국 기술과 첨단 미국 반도체를 활용해 저렴하게 강력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미국이 AI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글로벌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1.28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1-30 03:07
사진
여야, 설 이후 전력망법 등 입법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설 연휴 이후 국회의 민생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우선 여야는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산업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여객기 참사 특위)'와 국정협의회 등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4년 갑진년(甲辰年)이 저물고 있다. '푸른 용의 해' 우리는 더 높게 비상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4·10 총선 결과로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국면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등 물가 상승까지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까지 쉴 틈 없는 아픔의 연속이었다.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기운으로 우리 모두가 꺾이지 않고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서울달에서 바라본 국회 모습. 2024.12.31 mironj19@newspim.com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만나 '첨단산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처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동을 마친 뒤 "지난해 11월에 합의했던 법안이 있다"며 "처리하기로 합의했던 법안 63건 중 본회의에서 통과된 게 24건이고, 나머지 법안 39건은 아마 더불어민주당도 합의 처리하는 데 특별한 그것(이견)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전력망 구축 사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던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 주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영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다만 에너지 3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불리는 반도체산업 특별법은 '주52시간 근무제 예외(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조항'을 두고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다음 달 초 토론회를 열고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회 특별위원회도 활동을 이어간다. 여객기 참사 특위는 오는 2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현안 질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여야는 국정협의회 가동을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해 마련된 국정협의회는 지난 9일 첫 실무회의를 열고 참석자 및 공식 명칭 등을 확정했다. 협의회 참석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4명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의회는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양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정협의회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여야가 설 이후 본격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경우 협의회 가동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회-정부-국정협의체 실무협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실무협의에는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2025.01.09 pangbin@newspim.com rkgml925@newspim.com 2025-01-29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