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신소재, 車통해 경쟁 가속
[뉴스핌=김기락 기자] 쌍용자동차가 초고장력 강판전(戰)을 가속하고 있다. 최근 출시한 티볼리 에어에 초고장력 강판을 71%를 적용, 현대·기아자동차 주요 차종의 초고장력 강판 적용 비중인 51%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티볼리 에어는 전체 차량에서 초고장력 강판을 세계 최고 수준인 71%를 적용했다. 티볼리 에어의 초고장력 강판은 포스코 제품으로, 현대제철 강판을 쓰는 현대·기아차를 정조준 한 것이다.
초고장력 강판은 차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강판에 비해 두께는 얇으면서 강도는 더 높인 강판을 말한다. 현대·기아차는 인장 강도 60kg/㎟급 이상을 초고장력 강판으로 분류하고 있다. 단위면적 1제곱밀리미터당 60kg의 힘을 버틸 수 있다는 의미다.
초고장력 강판 비중을 늘리는 이유는 차량의 충돌 안전성과 연비 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초고장력 강판 수치가 높을수록 강해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높은 차량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다. 안전성 향상 외에도 차량 경량화에 따른 운동 성능 향상 및 배출가스 감소 효과도 크다. 때문에 초고장력 강판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등 친환경차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티볼리 에어 초고장력 강판의 강도는 현대·기아차 수준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포스코에 확인 결과, 티볼리 에어의 고강도강 강도는 경쟁사의 초고장력 강판과 동등하거나 더 높다”고 말했다. 다만, 공급사인 포스코에서는 초고장력 강판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월드 프리미엄 고강도강으로 부르고 있다.
투싼을 비롯해 스포티지, 제네시스 EQ900, 신형 K7 등 신차의 초고장력 강판 비율은 51% 이상이다. 이는 BMW 5 시리즈 32%, 벤츠 E 클래스 16%, 아우디 A6 25% 등 독일 명차 대비 2~3배 높은 수치다. 국산차가 수입차 보다 안전하지 않을 것이란 일각의 시각을 불식시킬 만하다. 특히 현대차의 친환경 전용차인 아이오닉 하이브리드는 53%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고장력 강판 비율이 높다고 해서 안전도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신형 투싼은 국토교통부의 안전도 종합등급 100점 만점 기준 91점을 기록, 최고 안전도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말했다.
![]() |
관련 업계는 현대·기아차가 현대제철과 초고장력 강판 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만큼,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쌍용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도 포스코의 고장력강 비중을 늘려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단적으로, 최근 출시돼 인기를 끌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 SM6 강판은 100% 포스코 제품이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포스코와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양해각서(MOU) 체결했다. 이를 통해 신차 개발에 따른 고강도강 개발 및 신소재 적용 등 기술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엔진 및 변속기 등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차량 안전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자동차 강판이 충돌 안전성 및 차체 경량화에 직결되는 만큼, 철강 회사의 제품 전략이 자동차 회사를 통해 나타나고 있고, 강판 외에 석유화학, 플라스틱 등 신소재 분야의 경쟁으로도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김기락 기자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