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금리 안심전환대출 이벤트 제외하면 역대 최저..미 인상 앞두고 고정금리대출 증가
[뉴스핌=김남현 기자]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기준 저축성수신금리가 올들어 처음으로 상승했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주요은행들이 거액예금을 재예치하고자 하는 노력이 반영된 때문이다. 기업대출도 한 특정 기업이 고금리 대출을 받아가면서 상승했다.
반면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대출금리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정부가 추진한 안심전환대출 이벤트를 제외하면 사실상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미국 연준(Fed)의 정책금리인상을 앞두고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수요도 많아 고정금리대출 비중 역시 늘었다.
![]() |
<자료제공 = 한국은행> |
순수저축성예금은 5bp 올라 1.56%를 기록한 반면, 시장형금융상품은 2bp 떨어진 1.65%를 기록하며 지난 3월부터 이어진 역대 최저치 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양도성예금(CD)91일물 금리나 은행채(AAA등급) 3개월물 금리가 9월말 각각 1.59%와 1.544%에서 10월말 각각 1.57%와 1.551%로 하락하고 코픽스(COFIX) 금리도 1.54%로 사상 최저치까지 떨어진 반면 주요은행들은 거액예금 재예치를 위해 기존보다 1~2bp씩 우대금리를 얹어줬기 때문이다.
강준구 한은 금융통계팀 과장은 “시장금리가 하락했지만 연말 거액예금 만기도래와 함께 예대율을 맞추기 위해 주요은행들이 재예치 노력에 나선 때문”이라며 “연말이면 이같은 현상에 통상 예금금리가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신규취급액기준 대출평균금리도 1bp 내린 3.42%를 보였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은 2bp 하락한 2.90%를 기록했다. 이는 정부가 안심전환대출 정책을 취하며 사상 최저치를 나타냈던 지난 4월(2.81%)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기업대출은 1bp 상승한 3.57%를 기록했다.
강 과장은 “시장금리 하락에 주담대 금리가 특이요인이 있었던 4월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기업대출금리는 한 특정 기업이 4~5%대의 고금리 대출을 받아가면서 일시적으로 올랐다”고 전했다.
잔액기준 총수신금리와 총대출금리는 각각 2bp와 4bp 떨어진 1.44%와 3.59%를 기록하면 역대 최저수준을 경신했다. 이에 따라 은행 예대마진은 2.15%포인트로 2009년 8월 2.11%포인트 이후 6년2개월만에 가장 낮았다.
![]() |
<자료제공 = 한국은행> |
시중은행들은 금융감독원의 가계부채종합관리방안에 따라 고정금리대출비중을 2017년말까지 40%로 맞춰야 한다. 올해말까지는 35%, 내년말까지는 37.5%다.
[뉴스핌 Newspim] 김남현 기자 (kimnh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