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최헌규 중국전문기자] 1937년 여름 베이징 근교 노구교사건이 도화선이 돼 중일전쟁이 터지고 베이징을 장악한 일본은 상하이를 접수한 뒤, 10여일만에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 성루에 일장기를 꽂는다. 영화 '난징난징(南京南京)'은 1937년 12월 약 6주간에 걸쳐 일본이 자행한 약 30만명의 대학살을 소재로 소름끼치는 인간 만행을 그린 영화다.
당시 집권당인 국민당 정부 장개석 총통은 수도 방위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치고 난징을 탈출한다. 난징 대학살은 망명정부 백성 처지인 난징주민에게 피할수 없는 숙명이 돼버렸고 7대왕조의 역사적 고도 난징은 삽시간에 유혈이 낭자한 공포의 시로 변한다.
약탈 방화 생매장과 일본도로 목베기놀이, 불태워죽이기 황산에 담가 죽이기, 윤간 독가스살포 기관총 창검살해 총살 아이를 창밖으로 내던져죽이는 장면, 여성음부에 대한 유린. 형언하기 힘든 일본군의 이런 만행에 대해 당시 나찌 조차도 ‘야수의 행각’이라며 혀를 내둘렀다니 그 잔혹함이 어떠했을지 미루어 짐작이 간다. 영화가 보여주는 당시 일본인 병사들은 인간성이 상실된 기계이며 정교하게 설계된 살인병기와 크게 다를 바 없다.
20세기 동아시아 최대의 전쟁범죄라고 하는 난징대도살(남경대학살)은 전쟁의 광기와 인간의 악마적 근성을 가해자 일본 참전병사 가토카와의 눈을 통해 리얼하게 그리고 있다. 다소 양심적 지식인 캐릭터로 등장하는 이 일본인 병사 가토카와는 참혹한 전쟁의 실상을 겪은 뒤 끝내 자살로서 생을 마감한다. 당시 중국사회 일각에서는 이 영화가 일본인을 너무 인도주의적으로 미화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런 가토카와라는 캐릭터가 일왕을 비롯한 핵심 전범들과 전쟁에 강제 징용된 일반 일본인들을 구분지으려는 정칙적 목적성을 띤 설정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전쟁을 도발한 군국주의자들과 무관한 많은 일본인들로 하여금 난징대학살의 역사를 직시하고 회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의도가 담겼다는 얘기다.
영화전반부에서 동상이 철거되는 모습은 국민당 정권의 쇠퇴와 패망을 암시하는 듯하다. 당시 이미 중국 국토의 상당 부분은 일본과 외세의 영향권 아래 떨어졌고 사람들은 망국의 백성신세로 전락했다. 영화속 어린 중국인 민병과 터진 누비옷을 걸친 사내, 대다수 중국인들의 표정은 무겁고 짙은 공포에 사로잡힌 모습이다.
희뿌연 포연은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불안한 남경 주민들의 운명인 셈이다. 난징시내 한 건물에는 서구열강에 의해 갈기갈기 찟긴 중국의 국토를 상징하듯 나찌 표식과 미국 성조기가 내걸려있다. 영화속에서 일본인 병사가 성조기를 짓밟은 행위는 난징이 완전히 일본 제국주의 수중에 떨어졌음을 말해준다. 영화에는 1938년 2월 서방국 외국인이 난징 재난구에서 철수하는 장면이 비춰진다.
영화가 만들어지기 전인 1997년 출간된 ‘난징의 강간’에서도 중국계 미국인인 저자 아이리스 장은 취재와 증언을 통해 난징대학살 당시 일본군의 끔찍한 만행을 낱낱이 고발하고 있다. 난징의 강간에는 100세가 다되가는 일본인 전쟁참전자들의 증언이 주목을 끈다. 이들은 하나같이 부정과 왜곡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데, 재밌는 것은 그들 조차도 ‘그 같은 전쟁이 절대 일어나선 안된다’는데 공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20대초반에 참전했다면 이미 80~90년전의 일이지만 난징학살은 그들 자신에게도 소름끼치는 공포로 남아있는 것 같다.
난징대학살에 대한 일본사회 주류 입장은 난징학살이 허구라고 하는 전면 부인파부터 부분 인정파 등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부분인정을 하는 쪽에서 조차 난징 대학살이라는 과거사 사죄와 반성에는 미온적이라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얼마전 MBC의 난징대학살 다큐에 나오는 한 일본인 잡지언론인의 다음과 같은 증언이 주목을 끈다.
“잔인한 일을 저질렀다. 하지만 여성 특정부위를 도려내는 것은 일본인에게만 국한된 게 아니다. 어느 민족이나 그렇다. 나치도 미군도 다 그렇게 했다.” 모두가 범죄자면 아무도 범죄자가 아니라는 궤변이다. 인류의 야만성을 일반화함으로써 난징대학살을 정당화하겠다는 심산인듯한데, 무서운 것은 일본의 현 집권 세력 최고지도부 또한 이와 똑같은 의식 상태라는 점이다.
난징난징이 제작 방영된 2009년은 조어도(센카쿠열도) 분쟁이 터지기 전이지만 양국간 영토대립은 이미 2008년말 중국어선의 조어도해역 진입으로 표면화했다. 때는 중국이 눈부신 경제발전과 함께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고 세계만방에 중국굴기의 위용을 드러내기 시작한 때였다.
반면 동북아 일원인 일본은 과거사 왜곡으로 지역갈등을 증폭시켰다. 때맞춰 제작 방영된 영화 ‘난징난징’은 회개하지 않는 일본에 대한 중국의 엄중한 경고라고 볼 수 있다. 중국은 이후 전세계에 난징대학살과 일본의 잔혹상을 알리며 파상적인 공세를 펼치고 나섰다. 영화 난징난징에 대한 기록은 마침내 2015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영화 난징난징은 이런 결실을 맺는데 적지않은 밑거름이 됐을 것이다.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