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개 기관 693명 퇴직…정년퇴직보다 3배 많아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3일 오후 3시19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국내 한 공기업의 부장급 직원 A씨는 지난해 하반기 본사가 지방으로 이전한 후 원치 않는 주말부부 생활을 하고 있다. 가족들과 떨어져 객지 생활을 1년 가까이 하다 보니 몸도 지치고 마음도 지쳤다.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 장시간 버스로 출퇴근 하는 것도 여간 힘든 게 아니다. A씨는 아직 정년이 5년 이상 남았지만 명예퇴직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공기업들이 지방이전을 시작한 지 3년차를 맞으면서 A씨처럼 명예퇴직을 고려하는 직원들이 크게 늘고 있다.
이전 후 명예퇴직을 신청한 이들이 정년퇴직자의 3배가 넘는다. 이전 기간이 길어질수록 명예퇴직자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 가스안전·석유공사 많고 가스공사 적어
3일 정부와 공공기관들에 따르면 주요 공기업의 지방이전이 대부분 완료되면서 명예퇴직자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위원(새누리당)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방이전 이후 지난 8월까지 86개 공공기관에서 명예퇴직한 직원 수는 693명으로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기업인 가스안전공사에서 24명이 명예퇴직했다. 이는 이전하기 전 직원 수의 6.5%에 해당한다. 석유공사 22명(2.6%), 한국전력 18명(1.2%), 전기안전공사 15명(4.2%), 산업단지공단 4명(2.3%), 가스공사 3명(0.4%) 등이 지방이전 후 명예퇴직했다(그래프 참고).
공공기관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이전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명예퇴직자들이 많았다.
가스안전공사와 전기안전공사, 산업단지공단은 이전한 지 1년이 넘었으며, 석유공사는 1년이 채 안됐지만 수도권에서 가장 먼 곳 중의 하나인 울산으로 이전했다. 다만, 대구로 이전한 가스공사는 3명으로 상대적으로 적었다(도표 참조).
이들 중 한전과 가스공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명예퇴직자가 정년퇴직자보다 3배 이상 많다. 86개 공공기관 전체로도 명예퇴직자(693명)가 정년퇴직자(221명)보다 3배 이상 많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지방으로 이전한 지 1년이 넘어서면서 명예퇴직자들이 점차 늘고 있다"면서 "정년퇴직자 수의 3배가 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내년부터 임금피크제가 시행되면 연봉이 삭감되기 때문에 일시에 명예퇴직금을 받고 다른 일을 찾아 보겠다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다른 공기업 관계자는 "지방 이전 이후 정년을 몇년 앞둔 직원들의 명예퇴직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고달픈 객지생활을 감안하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 정년 잔여기간 10년까지 기본급 25~50% 받아
공기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공기업들은 법정퇴직금 외에 정년의 잔여기간에 따라 기본급의 25~50%까지 명예퇴직금을 지급하고 있다. 정년 잔여기간 5년까지는 기본급의 50%를 지급하고 5~10년까지는 기본급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산해 지급한다.
예를 들어 기본급이 6000만원인 직원이 4년을 남겨두고 퇴직했다면 1억2000만원, 7년을 남겨뒀다면 1억8000만원의 명예퇴직금을 받는다.
다만 가스안전공사와 전기안전공사는 모두 일반퇴직으로 처리해 법정 퇴직금만 지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기업 관계자는 "회사마다 규정이 약간 다를 수 있지만 법정퇴직금 외에 정년 잔여기간에 비례해 기본급의 25~50%를 명예퇴직금으로 지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