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 펀더멘탈 양호..다만 대내외 금리차 유의해야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6일 발표한 경제주평에서 "최근 국내 경제 펀더멘털은 과거 미국 기준금리 인상 당시보다 양호해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르는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급격히 확대되거나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며 "하지만 대내외 금리차 축소로 인한 금융시장의 과도한 불안감을 방지하고 국내 거시 경제 건전성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료제공=현대경제연구원> |
보고서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는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현지시각 16~17일)를 앞두고 과거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했던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중반의 한국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변화를 점검했다.
우선 선진국 경제여건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향후 경기도 대체로 양호할 것으로 전망됐다. 물론 과거에는 미국과 유럽, 일본 모두 경기 확장세를 보인 반면 최근에는 미국만 회복세가 강하다는 차이점이 있으나 앞으로 일본과 유로존이 양적완화정책 시행으로 성장세가 강화될 것이란 설명이다.
다만 신흥국의 경우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국제 유가 하락과 중국 경기 둔화로 경기가 다소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국 경기 부진으로 원자재 수입 수요가 감소해 원자재 수출이 많은 신흥국 실물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 가운데 국내 경제는 과거와 달리 경제펀더멘털이 매우 양호해진 것으로 평가됐다. 홍 연구위원은 "미국의 1, 2차 기준금리 인상 당시보다 외환보유고는 많이 증가해 사상 최고치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상수지 역시 40개월 이상 연속 흑자행진을 보이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중이다"라고 말했다.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 비율 역시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한다면 국내 경제에는 대내외 금리차, 달러/원 환율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고서는 대내외 금리차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본의 유출은 제한적이거나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홍 연구위원은 "국내 외환건전성은 과거 미국 기준금리 인상 당시보다 건전해져 외환위기 우려가 높은 신흥국과 차별화되기 때문"이라며 "또한 최근 한국의 금리 수준은 금리차, 유사한 신용등급(A등급)을 보이는 국가보다 높아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한국은 여전히 투자 매력도가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미간 금리차는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국내경기 상황 변화에 따라 완만히 축소될 것"이라며 "최근 국내 경기 부진을 고려하면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한국의 기준금리가 즉시 동반 인상될 가능성은 낮아 보이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자본이 제한적으로 유출된다면, 부진한 국내 경기를 고려할 때 국내 기준금리가 빠르게 인상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유로존과 일본에서 통화완화정책이 시행돼 유로화 약세,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홍 연구위원은 "유로화 및 엔화 약세를 고려하면, 달러화 강세는 과거와는 달리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미국 경기 회복세 약화, 글로벌 투자자금의 국내 유입 가능성도 고려한다면 달러/원 환율 상승 정도는 최근 1년여보다 완만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또한 보고서는 국내 수출의 경우 과거 미국 기준금리 인상 당시보다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올해의 견조한 미국 경제 회복세가 내년에는 다소 약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對)미국 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하겠지만, 그 속도는 다소 둔화될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수출 부진의 큰 원인은 원자재 수출 신흥국과 외환위기 발생 우려가 높은 신흥국에 대한 수출 감소가 미국에 대한 수출 증가보다 더 클 것이기 때문이다. 홍 연구위원은 "중국 경기가 둔화되면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심화될 우려가 있다"며 "중국에 원자재를 수출하는 신흥국 경기 부진, 수입 수요 감소가 예상돼 이들 국가에 대한 우리나라 수출이 연쇄적으로 부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내외 금리차 우려 축소와 경제 펀더멘탈 강화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됐다. 환율 변동성 확대를 점검, 쏠림현상을 막아 원화 가치 급락을 방지하는 등의 방안이 제기된다.
홍 연구위원은 "달러 유입 및 단기 외채 비중 확대에 대한 감독을 지속하고, 수출 기업에 대한 단기 유동성 공급 확대, 환율 급변동 헤징 수단 마련, 환변동 보험 지원 등을 통해 해외 금융시장 환율 급변동 발생 시 야기될 수 있는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며 "국제금융시장의 혼란에 따른 금융위기가 국내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통화스왑 확대 등 공조 체제 구축과 협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정연주 기자 (jyj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