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영향 미미…증시·경제 괴리 여전
[뉴스핌=배효진 기자] 중국의 경기둔화와 위안화 평가절하에서 비롯된 불안감이 전 세계 금융시장을 집어 삼키며 '글로벌 위기 재발'이라는 대재앙으로 번지지 않을까 하는 공포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위기를 본능적으로 느낀 투자자들은 너도나도 주식시장에서 돈을 인출해 안전자산인 채권과 엔·유로화로 향하고 있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뚜렷한 실체가 없는 금융시장의 불안감에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시장에 팽배한 비관론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기업과 가계가 투자와 소비를 억제하면서 세계경제가 침체 국면으로 빠져들거나 일부 금융권의 붕괴가 일파만파의 충격파를 몰고 올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발생한 비상사태로 경제전문가들이 2016년 세계경제 전망을 하향수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올해보다는 상황이 더 나아질 것이란 낙관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바클레이즈는 올해 세계경제가 3.2% 성장한 뒤 내년에는 3.6%로 성장 속도가 완만하게 강화될 것이란 전망을 제시했다. 씨티그룹의 빌렘 뷔터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세계경제가 매우 예민한 상황에 직면했다면서 중국과 일본 그리고 여타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의 신흥경제들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했지만, 그래도 내년 경제 여건은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란 긍정적인 기대를 유지했다.
◆ 중국 증시, 여전히 실물경제와 괴리
시장 관계자들은 중국 주식시장이 강세장을 유지하며 거품 논란을 자아낼 때와 마찬가지로 주식시장과 실물경제의 괴리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데 입을 모은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마크 윌리엄스 수석 아시아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년간 주식시장의 강세는 경제 기초체력(펀더멘털) 개선이 아닌 투기가 견인한 것으로, 큰 그림에서 거품 붕괴는 불가피한 결과였다"며 "중국 증시 폭락을 전 세계 금융시장이 혼란을 겪는 문제점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진단했다.
중국의 주식 투자자는 인구 30명당 1명 꼴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식시장의 활황과 폭락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 수준에 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차이나 베이지북의 릴 랜드 대표는 "전날 주식시장을 강타한 '블랙먼데이'는 시장의 사건이지 경제의 사건은 아니다"며 "중국 주식시장은 실물경제와 연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 시장 혼란, 우울증과 같아
전문가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중국발 위기가 촉발시킨 글로벌 투자자들의 혼란은 과잉 반응이라고 진단한다.
우니크레디트의 에릭 닐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경제가 대참사를 향하고 있다는 제목이 모든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며 "시장의 반응은 이해되지 않을 뿐더러 비합리적이며, 마치 우울증과 같다"고 꼬집었다.
경제 규모에 비해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그리 높지 않다는 의견도 귀기울일만 하다.
파솜컨설팅의 앤드류 브리그던은 "중국에 있어 세계경제는 최대 순수출국으로서 의미를 가지는 반면 중국은 세계 경제에 별 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중국의 경기 둔화와 그로 인한 국제 원자재 가격의 폭락이 글로벌 경제를 침체 국면으로 빠뜨릴 위험은 낮다는 판단이 나온다.
골드만삭스의 피터 오펜하이머 전략가는 "선진국 경제 회복세가 중국 등 신흥국에서 비롯된 경기둔화 여파를 상쇄할 수 있다"며 "위험은 중국에만 있는 것으로, 중국발 글로벌 경기침체 불안은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 위기 요인 외면은 금물
이 외에도 전문가들은 과거 아시아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아시아를 비롯한 신흥국이 충분한 기초체력과 대응력을 갖췄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고정환율을 방어하려한다거나 2000년 닷컴 버블 때처럼 명백한 과잉이 형성된 것도 아니고 2008년 금융위기와 달리 금융회사의 붕괴 조짐도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 전망이나 개선된 경제 금융여건에도 불구하고 위기 요인을 외면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두 가지 위기 유발 요인이 지목된다.
먼저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은 최근 투자자들의 혼란을 과잉 반응으로 진단하는 전문가들의 생각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2008년 세계 경제를 덮친 금융위기 때와 같이 불안감에 휩싸인 기업들이 일시적으로 투자를 중단함에 따라 공급이 중단되고 경제가 급속도로 위축되는 최악의 상황이 재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설명처럼 계량화된 판단이 아닌 무모하고 직감적이며 즉흥적인 욕구의 결과물인 '야성적 충동'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 2008년 금융위기로 은행들이 줄도산에 직면했듯 이번에도 시장 변동성을 견디지 못한 금융부문에서 비롯된 실패와 공포가 세계 전반으로 빠르게 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FT는 "2008년 위기 발생 때도 이를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고 봤지만 순식간에 통제권을 벗어났다는 점에서 작금의 위기도 상당히 불확정적인 상태"라고 강조했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뚜렷한 실체가 없는 금융시장의 불안감에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시장에 팽배한 비관론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기업과 가계가 투자와 소비를 억제하면서 세계경제가 침체 국면으로 빠져들거나 일부 금융권의 붕괴가 일파만파의 충격파를 몰고 올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발생한 비상사태로 경제전문가들이 2016년 세계경제 전망을 하향수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올해보다는 상황이 더 나아질 것이란 낙관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바클레이즈는 올해 세계경제가 3.2% 성장한 뒤 내년에는 3.6%로 성장 속도가 완만하게 강화될 것이란 전망을 제시했다. 씨티그룹의 빌렘 뷔터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세계경제가 매우 예민한 상황에 직면했다면서 중국과 일본 그리고 여타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의 신흥경제들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했지만, 그래도 내년 경제 여건은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란 긍정적인 기대를 유지했다.
◆ 중국 증시, 여전히 실물경제와 괴리
시장 관계자들은 중국 주식시장이 강세장을 유지하며 거품 논란을 자아낼 때와 마찬가지로 주식시장과 실물경제의 괴리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데 입을 모은다.
중국의 주식 투자자는 인구 30명당 1명 꼴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식시장의 활황과 폭락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 수준에 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차이나 베이지북의 릴 랜드 대표는 "전날 주식시장을 강타한 '블랙먼데이'는 시장의 사건이지 경제의 사건은 아니다"며 "중국 주식시장은 실물경제와 연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 시장 혼란, 우울증과 같아
전문가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중국발 위기가 촉발시킨 글로벌 투자자들의 혼란은 과잉 반응이라고 진단한다.
우니크레디트의 에릭 닐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경제가 대참사를 향하고 있다는 제목이 모든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며 "시장의 반응은 이해되지 않을 뿐더러 비합리적이며, 마치 우울증과 같다"고 꼬집었다.
경제 규모에 비해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그리 높지 않다는 의견도 귀기울일만 하다.
파솜컨설팅의 앤드류 브리그던은 "중국에 있어 세계경제는 최대 순수출국으로서 의미를 가지는 반면 중국은 세계 경제에 별 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중국의 경기 둔화와 그로 인한 국제 원자재 가격의 폭락이 글로벌 경제를 침체 국면으로 빠뜨릴 위험은 낮다는 판단이 나온다.
골드만삭스의 피터 오펜하이머 전략가는 "선진국 경제 회복세가 중국 등 신흥국에서 비롯된 경기둔화 여파를 상쇄할 수 있다"며 "위험은 중국에만 있는 것으로, 중국발 글로벌 경기침체 불안은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전문가들은 과거 아시아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아시아를 비롯한 신흥국이 충분한 기초체력과 대응력을 갖췄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고정환율을 방어하려한다거나 2000년 닷컴 버블 때처럼 명백한 과잉이 형성된 것도 아니고 2008년 금융위기와 달리 금융회사의 붕괴 조짐도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 전망이나 개선된 경제 금융여건에도 불구하고 위기 요인을 외면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두 가지 위기 유발 요인이 지목된다.
먼저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은 최근 투자자들의 혼란을 과잉 반응으로 진단하는 전문가들의 생각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2008년 세계 경제를 덮친 금융위기 때와 같이 불안감에 휩싸인 기업들이 일시적으로 투자를 중단함에 따라 공급이 중단되고 경제가 급속도로 위축되는 최악의 상황이 재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설명처럼 계량화된 판단이 아닌 무모하고 직감적이며 즉흥적인 욕구의 결과물인 '야성적 충동'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 2008년 금융위기로 은행들이 줄도산에 직면했듯 이번에도 시장 변동성을 견디지 못한 금융부문에서 비롯된 실패와 공포가 세계 전반으로 빠르게 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FT는 "2008년 위기 발생 때도 이를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고 봤지만 순식간에 통제권을 벗어났다는 점에서 작금의 위기도 상당히 불확정적인 상태"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