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비관 일색, 해답 있나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다우 1000p ‘다이빙’ 글로벌 증시 비이성적 패닉
다우존스 지수가 24일(현지시각) 장 초반 1000포인트 이상 폭락하는 등 글로벌 증시의 패닉이 날로 깊어지는 양상이다.
지난 11일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 이후 글로벌 증시의 시가총액이 5조달러 증발한 가운데 다우존스 지수가 5000선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등 투자자들 사이에 비관론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국제 유가가 낙폭을 확대했고,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 아래로 떨어진 한편 엔화가 강한 상승 탄력을 받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에 투자자들의 극심한 공포 심리가 고스란히 투영됐다.
월가[출처=블룸버그통신] |
24일 다우존스 지수가 장 초반 1089포인트 급락한 1만5370까지 밀린 뒤 낙폭을 축소했다.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증시와 유럽 증시가 동반 폭락하면서 매도 심리를 부추긴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증시의 도미노 폭락에 좀처럼 제동이 걸리지 않는 상황이다. 독일 DAX 지수가 장 후반 4% 가까이 밀리며 9741까지 하락, 고점 대비 22%의 낙폭을 기록해 베어마켓에 발을 들여 놓았다.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600 역시 지난주 주간 기준으로 4년래 최대 낙폭을 기록한 데 이어 이날 장 후반 4.9% 급락해 2009년 이후 최대 하락을 나타냈다.
영국 증시가 212년 이후 최저치로 밀렸고, 앞서 아시아 증시도 상하이 증시가 8.5% 폭락한 것을 포함해 일제히 브레이크 없는 하락을 연출했다.
주가 과열 논란이 뜨거웠던 증시가 이번에는 비이성적 패닉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램프 애셋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워시넥 펀드매니저는 “모든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진 상태로 비이성적 대응과 무분별한 매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글로벌 증시가 서로 하락을 부추기며 주가를 끌어내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주가 반등 ‘글쎄’ 다우 5000 간다
투자자들 사이에 저가 매수를 추천하는 목소리는 듣기 어렵다. 추가 하락을 주장하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다우존스 지수와 선행지표로 통하는 다우 운송지수가 동시에 조정 영역에 진입한 만큼 매물이 쏟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마켓워치의 브레트 아렌즈 칼럼니스트는 다우존스 지수가 5000 선까지 밀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단기 폭락에 따른 반등이 나올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 지수가 70% 추가 하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경고다.
중국에서 촉발된 글로벌 증시 폭락이 실물경기를 강타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도이체방크의 헤닝 게브하르트 글로벌 주식 헤드는 “주가와 유가가 동시에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깎아 내리고 있다”며 “유가와 글로벌 경제 성장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것으로 보이며, 이어 글로벌 기업의 이익 전망 역시 낮춰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美 국채-엔화 UP 금은 이번에도 소외엔화[출처=뉴시스]
투자 심리가 급랭한 데 따라 미국 국채와 엔화 등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몰렸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1.905%까지 떨어지며 약 4개월만에 처음으로 2% 아래로 떨어졌다. 이날 장중 수익률은 지난 4월 말 이후 최저치에 해당한다.
엔화는 미국 금융위기 이후 1일 기준 최대 폭으로 뛰었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엔/달러가 117엔까지 하락, 엔화가 달러화에 대해 4% 이상 폭등했다.
이와 달리 전통적인 안전자산 금은 패닉장의 반사이익을 보지 못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장중 금 선물은 0.1% 소폭 오르는 데 그쳤다.
코메르츠는 중국 경제의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금속 상품 가격을 후려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 투자자들이 기다리는 것은
자유낙하를 방불케 하는 증시 급락과 투자자들의 공포를 진정시킬 수 있는 열쇠는 경제 지표 개선이라고 시장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중국을 필두로 글로벌 경제의 하강 기류에 대한 우려가 지나친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만한 근거가 경제 펀더멘털 측면에서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취리히의 금융회사 케플러 쇠브뢰는 투자 보고서를 통해 “증시 폭락에 제동을 걸 수 있는 근본적이고 유일한 해결책은 경제 성장률과 국제 교역의 회복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경제 지표”라고 강조했다.
일부에서는 중국 정부의 또 한 차례 증시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이미 정책 신뢰가 흔들린 만큼 근본적인 해답이 되기는 어렵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