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말 현재 7.5조달러…미국 긴축 충격 우려
- IMF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등이 취약"
[뉴스핌=배효진 기자] 신흥국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이 최근 가파르게 줄어들며 금융위기 이후 최저수준까지 감소했다. 감소세는 국과 러시아등 외환보유액이 많은 국가에 한정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여전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충격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23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신흥국 외환보유액이 7조500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직전 분기에서 2200억달러 줄어든 수준이며 분기 기준으로 지난 2009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다만 JP모간체이스의 조이스 창 글로벌 리서치 헤드는 "중국과 러시아 등 외환보유액이 많았던 국가들을 중심으로 가파른 감소세가 나타났기 때문에 걱정할 요인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중국은 최근 경기가 둔화되면서 외환보유액이 3조7000억달러까지 떨어졌다. 러시아는 지난해 4분기 루블화 폭락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나서면서 외환보유액이 크게 줄었다.
신문 역시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현재 외환보유액이면 11개월간 수입 대금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이유에서다. 일반적으로 외환보유액은 6개월분 이상의 수입 대금을 치를 수 있으면 적정 수준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확정적이라는 점에서 그 후폭풍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성장의 엔진이었던 신흥국 경제는 최근 급속히 냉각됐다. 대내외 수요 부진에 수출·입은 둔화됐고 통화가치는 수직 낙하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신흥국으로 몰렸던 글로벌 자금의 대규모 유출은 불가피하다. 신흥국 주식과 채권시장, 통화가치의 폭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국제금융연합회(IIF)는 환율 변동에 취약한 국가로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등을 꼽았다.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이 단기 수혈을 요하는 자금수준에 못 미친다는 이유에서다. 이들 국가는 대내외 불안에 통화가치가 수년래 최저치로 떨어지는 동일한 현상을 겪고 있다.
이 같은 우려는 고스란히 자금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JP모간에 의하면 올 들어 해외투자자들이 신흥국 증시에서 회수한 자금은 239억달러로 집계됐다. 2억달러는 신흥국 현지통화표시 채권시장에서 유출됐다. 주식과 현지채권은 환 변동성에 취약한 자산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신흥국 외환위기 가능성이 고조되는 배경으로 최근 미국 달러화 강세 기조를 지목한다. 유로화와 엔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 전환하면서, 신흥국이 보유한 주요 결제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모간스탠리 투자운용은 달러화 강세로 인한 환율 변동성이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이 주는 데 있어 40% 가량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 회사의 옌스 니스테드 신흥국 채권시장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신흥국으로 자금유입이 어려운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뉴스핌=배효진 기자] 신흥국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이 최근 가파르게 줄어들며 금융위기 이후 최저수준까지 감소했다. 감소세는 국과 러시아등 외환보유액이 많은 국가에 한정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여전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충격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23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신흥국 외환보유액이 7조500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직전 분기에서 2200억달러 줄어든 수준이며 분기 기준으로 지난 2009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다만 JP모간체이스의 조이스 창 글로벌 리서치 헤드는 "중국과 러시아 등 외환보유액이 많았던 국가들을 중심으로 가파른 감소세가 나타났기 때문에 걱정할 요인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중국은 최근 경기가 둔화되면서 외환보유액이 3조7000억달러까지 떨어졌다. 러시아는 지난해 4분기 루블화 폭락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나서면서 외환보유액이 크게 줄었다.
신문 역시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현재 외환보유액이면 11개월간 수입 대금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이유에서다. 일반적으로 외환보유액은 6개월분 이상의 수입 대금을 치를 수 있으면 적정 수준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확정적이라는 점에서 그 후폭풍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성장의 엔진이었던 신흥국 경제는 최근 급속히 냉각됐다. 대내외 수요 부진에 수출·입은 둔화됐고 통화가치는 수직 낙하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신흥국으로 몰렸던 글로벌 자금의 대규모 유출은 불가피하다. 신흥국 주식과 채권시장, 통화가치의 폭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지난 1년 환율 추이. 순서대로 루블,유로,링깃,리라,엔<출처=구글파이낸스> |
이 같은 우려는 고스란히 자금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JP모간에 의하면 올 들어 해외투자자들이 신흥국 증시에서 회수한 자금은 239억달러로 집계됐다. 2억달러는 신흥국 현지통화표시 채권시장에서 유출됐다. 주식과 현지채권은 환 변동성에 취약한 자산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신흥국 외환위기 가능성이 고조되는 배경으로 최근 미국 달러화 강세 기조를 지목한다. 유로화와 엔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 전환하면서, 신흥국이 보유한 주요 결제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모간스탠리 투자운용은 달러화 강세로 인한 환율 변동성이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이 주는 데 있어 40% 가량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 회사의 옌스 니스테드 신흥국 채권시장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신흥국으로 자금유입이 어려운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