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투자 50% 확대..'미래먹거리' 찾기 본격화
[뉴스핌=이연춘 기자]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경기불황과 출점 및 영업 규제에도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며 '미래먹거리' 찾기에 본격 착수했다.
정 부회장은 최근 서울 성수동 이마트 본사에서 2015년 그룹 임원 워크숍을 열고 올해 사상 최대 규모인 3조3500억원을 전체 투자키로 결정했다.
작년 말 구학서 부회장이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며 홀로서기에 나선 정 부회장이 신사업 강화의 칼을 빼든 것이다.
19일 신세계에 따르면 올해 투자액은 지난해 그룹 전체 투자규모가 2조2400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50%(1조1100억원) 가량 늘어난 수치다.
신세계그룹은 복합쇼핑몰 등 대형 프로젝트와 관련, 외국자본을 적극적으로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신세계그룹 측은 "유통업계가 전반적으로 경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사상 최대의 투자를 통해 내수 경기 활성화와 미래성장 동력 발굴에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상 최대 3조3500억 투자…'내수경기 살리기' 앞장
정 부회장은 올해 투자는 미래 준비와 '비전 2023' 실현에 초점을 맞췄다. 비전 2023은 복합쇼핑몰, 온라인몰 등을 확대해 2023년까지 매출 88조원, 투자 31조4000억원, 고용 17만명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앞으로 10년간 매년 2조~3조원 이상의 투자를 하고 매년 1만명 이상을 채용하는 등 내수경기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우선 올해 주요 투자처는 경기 하남, 고양 삼송, 인천 청라 등에 짓고 있거나 지을 예정인 교외형 복합쇼핑몰과 동대구 복합 환승센터, 신세계 백화점 강남점 증축, 센텀시티 B부지 추가 개발, 김해점 신축 등이다.
이마트는 2020년까지 모두 6개의 온라인 물류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기존 온라인 쇼핑몰이 갖고 있는 물류적인 한계를 극복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국내 진출이 임박한 거대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과 알리바바에 맞선다는 방침이다. 이마트몰과 백화점몰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지난해 문을 연 'SSG닷컴'도 그 연장선에 있다.
모바일의 경우 이제는 온라인 뿐 아니라 모든 영역을 대체하는 시대가 됐다는 판단에 따라 전사적으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국내 최초로 선보인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역시 정통 프리미엄 아울렛이라는 강점을 내세워 거듭나고 있다. 매장면적 2만6000㎡(약 8000평) 규모의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은 올해 상반기 현재보다 2배 가까이 되는 매장 면적 5만3000㎡(1만6000평) 규모로 확장 개장할 계획이다.
이밖에 편의점 위드미 사업은 지난해 말 500호점을 돌파했으며 올해는 신규 경영주들의 수익 확대 등 경영 정상화와 내실 다지기에 초점을 맞춰 나간다.
이를 통해 신규 인력 채용의 경우에는 지난해(1만3500여명)보다 1000여명(8%) 늘린 1만4500여명 가량을 선발하면서 일자리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15년만에 BI 교체 등 '홀로서기'
후견인 역할을 했던 구학서 고문이 지난해 12월 회장직을 반납하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면서 정 부회장이 이번 투자를 통해 자신만의 '색깔' 내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백화점의 지난 1일부로 기업 BI(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교체했다. 그룹과 함께 쓰던 붉은색 꽃잎 심볼을 떼고 '신세계'의 영문인 'SHINSEGAE'만 홀로 사용하기로 했다. 영문 'SHINSEGAE' 역시 기존보다 자간을 더 넓혀 모던한 스타일로 업데이트 했다. 2000년 이후 15년만의 BI교체다.
신세계백화점이 그룹과 다른 별도의 BI를 쓰는 이유는 향후 신세계백화점이 그룹내 위상과 관련이 깊다. 신세계백화점은 내년 문을 여는 하남 복합쇼핑몰과 동대구환승센터 등 그룹의 먹거리 사업을 주도하는 계열사로 향후 그룹의 캐시카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신세계백화점을 주력 계열사로 키우는 작업은 정 부회장이 진두지휘하고 있다. 그는 그룹의 새 먹거리 발굴을 위해 하남 외 수도권 10곳에 교외형 복합 쇼핑몰 건설을 계획하고, 부지 선정과 투자 활동을 직접 챙기고 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유통업계는 투자로 인한 고용 창출효과가 어느 산업보다 높은 편"이라며 "올해도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연춘 기자 (ly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