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민정 기자] 정부가 윈도우XP 지원종료에 따라 현재 XP를 사용하고 있는 지자체의 PC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교환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84%의 PC의 업그레이드·교체 작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안전행정부 관계자는 8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에 대해 상위버전 업그레이드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시·도는 대부분 완료되는 것으로 보고있는데 일부 시·군·구가 재정상황이 좋지 않아 남는 게 있지만 조기에 교체하도록 지침을 내렸다”고 밝혔다. 사실상 2012년부터 국가정보원의 주도로 윈도우XP 지원 종료에 대한 대응이 시작됐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시·도본부 사용 PC의 94%를 이달까지 업그레이드 혹은 교환하고 올해 안으로 99.2%에 대해 작업을 완료하기로 했다. 시군구를 포함하면 연말까지 84%의 PC가 업그레이드되거나 교체된다.
약 96억원을 들여 윈도우XP 지원연장을 결정한 영국정부와 달리 우리 정부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를 상위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기로 했다. 현재 행정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XP 설치 PC는 2008년이나 그 이전부터 사용된 제품으로 PC의 내용연수인 4년을 1~2년 초과해 교체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안행부 관계자는 “행정기관 PC는 내용연수가 4년인데 2008년에 들어온 XP는 6년정도 돼 가고 있어 내용연수가 1~2년 초과된 제품”이라며 “진작에 바꿨어야 하는데 예산부족 등으로 오래 쓰고 있는 것들이어서 내용연수도 지났으니까 교체하는 게 더 나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업그레이드 및 교체 비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 관계자는 “비용은 각 기관별로 나와있는데 정확하진 않다”며 “비용이 나오면 수량까지도 나오는데 보안에 관한 사안이라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안행부는 ‘행정기관 윈도우XP 대응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악성코드 감염 등 사이버 위협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정부통합전산센터,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시․도 사이버대응센터 등 유관 관제센터와 비상연락체계를 구성해 상황을 공유하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사이버안전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사이버 보안 관련 유관기관과도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하여 사이버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안행부 관계자는 “XP 지원 종료 이후에 취약점으로 악성코드가 나올 수 있는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되는 즉시 백신을 보급할 계획이니 백신 활용해서 악성코드를 제거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확실히 안전하게 하려면 국민들도 윈도우 버전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김민정 기자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