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주주들, 오는 11일 이마트·롯데쇼핑에 '2차 주주제안' 발송 계획
자사주 소각·집중투표제 도입 등 요구...주가 하락에 따른 피해 주장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다음달 정기주주총회(주총)을 앞두고 이마트와 롯데쇼핑의 개인 소액주주들이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소액주주들은 이마트와 롯데쇼핑의 주가 하락을 문제 삼아 그룹 오너일가의 책임경영 의지를 보일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 업황 부진에 따라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상장사 중 주가순자산비율이 최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징의 등기 임원 선임을 촉구하는 한편, 자사주 소각 등을 골자로 한 주주제안서를 전달하며 기업을 압박하는 모습이다.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 왼쪽)과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사진=각사] |
◆이마트·롯데쇼핑에 재차 '주주제안' 전달
6일 업계에 따르면 소액주주 행동 플랫폼 '액트'는 오는 11일 이마트와 롯데쇼핑에 '주주제안' 서한을 각각 발송할 예정이다.
우선 액트는 이마트와 이마트 경영진 측에 지난달 8일에 '1차 주주제안'을 발송한 데 이어 오는 11일 '2차 주주제안'을 전달할 계획이다.
1차 주주제안서에는 ▲재무구조 개선 ▲책임경영 실시 요구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다만 2차 주주제안 때는 ▲자사주 소각(약 656억원 규모) ▲밸류업(value-up,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수립 후 공개 ▲집중투표제 도입 ▲주총 임원보수심의제 신설 위한 정관 변경 ▲권고적 주주제안 허용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정용진 회장이 이끄는 이마트의 소액주주들이 주주제안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이날 기준 액트에 합류한 주주는 1000명을 넘어선 1019명에 이른다. 주식 수는 총 48만6833주로, 지분율로 따지면 1.75%에 달하는 규모다.
![]() |
소액주주 행동 플랫폼 '액트'가 오는 11일 이마트에 '2차 주주제안'을 전달할 예정이다. [사진= 액트 페이지 갈무리] |
액트는 국내 경제전문단체인 경제개혁연대와의 연대를 통해 개인 투자자들이 주주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이마트 측이 주주제안을 거부할 시 경제개혁연대 등과 함께 의안상정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도 불사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롯데쇼핑 소액주주들도 액트를 통해 주주권리 행사에 나선다. 이들은 액트를 통해 이달 11일에 재차 '주주제안'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다. 앞서 액트는 지난달 6일 롯데쇼핑 측에 하락한 주가 개선을 촉구하는 '1차 주주제안서'를 보낸 바 있다.
2차 주주제안서에는 이마트와 마찬가지로 ▲자사주 취득 및 소각 ▲집중투표제 도입 ▲주총에서의 임원 보수정책 보고 및 승인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 등이 담길 예정이다. 현재 액트에 참여한 롯데쇼핑 주주는 394명이다. 주식 수는 31만8262주(지분율 전체 1.13%)다.
다만 상법 상 주주제안권이 발동하려면 발행주식 총수의 3% 이상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에 소액주주들의 결집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액트 측은 6개월 이상 보유한 경우 1% 이상도 가능하며 자본금 1000억원 이상인 회사는 0.5%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마트와 롯데쇼핑의 경우 장기 보유 소액주주가 많은 만큼 주주제안권 발동을 위한 요건을 이미 갖췄다는 것이 액트 측 설명이다.
주주제안 외에도 액트 측은 3월 주총 현장에서 책임 경영 차원에서 신동빈 회장과 정용진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다는 입장이다.
![]() |
옛 이마트 본사 전경 [사진=이마트] |
◆소액주주들 똘똘 뭉친 까닭은?
이마트와 롯데쇼핑의 소액주주들이 집단 행동을 택한 것은 주가 하락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소액주주들은 이마트와 롯데쇼핑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상장사 중 최저 수준인 0.16%에 머물러 있는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비율이 낮은 것은 저조한 주가와 실적 영향이 크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이마트의 주가는 6만4100원이다. 코로나19가 본격화되던 2021년 8월 31일에도 이마트 주가는 종가 기준 17만9000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64.2% 급감한 수준이다. 주가가 급락하면 기업가치 하락으로 이어진다.
실제 주가 낙폭을 대입해 기업가치를 환산하면 이마트의 시가총액은 지난 3년 5개월 만에 무려 3조2057억원이나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시가총액이 3조원이 넘는 곳은 금호석유(3조95억원), 한미약품(3조2604억원)으로, 대기업 계열사 하나가 날아간 셈이다.
롯데쇼핑도 사정은 비슷하다. 2011년 46만원대이던 롯데쇼핑의 주가는 이날 5만4400원에 불과하다. 14년 만에 8분의 1 토막 난 것이다.
주가 하락은 실적 부진 때문으로 분석된다. 롯데쇼핑의 지난해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일제히 감소했다. 순매출액은 13조9866억원으로 전년 대비 3.9%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6.9% 감소한 473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마트의 경우 지난 3년간 외형 성장이 정체돼 있는 상황이다. 이마트의 지난해 매출은 '30조원 벽'을 깨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매출은 연결 기준 29조1405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매출 29조원을 넘어선 이후 3년간 29조원에 머물러 있다.
수익성도 문제다. 2021년에 비하면 영업이익은 크게 줄어들었다. 2020년에 2372억원이던 영업이익은 2022년 1357억원으로 급감하더니, 2023년 46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 창사 이래 첫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흑자로 전환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나 영업이익 규모는 1438억원에 불과할 것으로 증권가는 예상한다.
윤태준 액트 소장은 "1주 주주도 회사의 주인이다. 액트는 특정 이해관계인의 이익을 위해 다수의 주주들이 장기적이고 구조적으로 피해를 입는 한국 시장의 악순환을 개인주주의 연대를 통한 주주운동을 통해 풀어가고자 한다.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결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