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세컨드 스크린'을 잡아라..트위터와 TV방송사 '힘 합치기'

기사입력 : 2013년09월23일 11:24

최종수정 : 2013년09월23일 11:24

방송사에 마케팅 툴 제공..페이스북도 방송사 광고주 유치 '안간힘'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트위터가 가을 시즌 방송가 개편을 맞아 바쁘다.

프로그램 제작이나 유통을 직접 하려는 건 아니다.TV를 보면서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이른바 '세컨드 스크린(Second Screen)'에 빠져 있는 시청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TV 방송사들이 트위터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 방송사들은 실시간 온라인 마케팅이 가능한 트위터 활용에 혈안이 돼 있으면서도 '무임승차'만 해 왔는데 트위터는 차차 이 추세를 바꿔놓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몇 개월간 트위터는 TV 방송사 및 광고주들과 협의하면서 좀 더 정교한 마케팅 툴 개발에 나서 왔다. WSJ은 이번 주 뉴욕에서 열리는 '광고 주간 컨퍼런스(Advertising Week conference)'에서 이와 관련된 협약들이 맺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트위터가 이미 TV를 겨냥해 내놓은 마케팅 툴 중 하나는 '트위터 앰플리파이(Twitter Amplify)'다. 어떤 프로그램에서 어떤 광고가 나오는 지를 파악한 뒤 트위터 사용자들이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올린 트윗과 해시태그(#)를 분석해 이 사용자에 타깃팅된 트위터 광고를 타임라인에 노출하는 것이 핵심. 

ESPN이 트위터 앰플리파이를 이용하고 있다.(출처=engadget)
TV 방송사들은 앰플리파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짧은 프로그램 관련 동영상을 올릴 수도 있다. 퍼스트 스크린인 TV를 통해서, 그리고 세컨드 스크린을 통해서도 광고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니 광고주들에겐 도움이 될 수 있다는게 트위터측의 설명이다.

아직까지 트위터는 광고 매출이 어느 정도인지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시장 조사업체 이마케터는 트위터가 내년 전 세계에서 10억달러 미만의 광고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올해 매출은 5억8300만달러로 예상했다. 지금까지 A&E 네트웍스, BBC 아메리카, ESPN 등의 방송사가 트위터와 이 계약을 맺었고, 곧 폭스 스포츠도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시청률 조사업체 닐슨은 지난달 "29개 에피소드에 대한 TV 생방송 시청률을 조사해 봤더니 트윗 양이 많을 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시청률 상승이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닐슨은 이달 말 트위터와 관련된 시청률을 따로 발표하기 시작할 예정이다. 

물론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트위터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 시청률이 올라가는 건 아니다. 지난 7월 컴캐스트 산하 SF 채널의 영화 '샤크나도(Sharknado)'는 '트위터 현상'을 빚었다. 방송이 전파를 타는 동안 분당 5000개씩의 트윗이 올라올 정도였던 것. 하지만 닐슨 집계에 따르면 총 시청자는 140만명에 불과했다. SF 채널은 그러나 "트위터가 트렌드를 만들어 준다"고 믿고 있으며 시청자와 방송국을 묶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여기고 있다.

트위터 광고 시장은 아직은 작다. 그러나 성장세는 놀라울 정도다. 스탠다드 미디어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광고주들이 트위터 광고에 지출한 자금은 한 해 전 같은 기간에 비해 81% 늘었다. 반면 다른 매체 광고에 대한 지출은 1.2% 늘어나는데 그쳤고 구글 광고에 대한 지출이 17.4% 늘어난 것에 비하면 성장세가 우월하다. 구글 매출의 대부분은 이 광고 매출에서 나온다.

페이스북도 트위터처럼 TV 방송사들을 광고주로 유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달 초 페이스북은 일부 미디어 업체들에게 페이스북 회원들이 올린 포스팅에 접근할 수 있는 '퍼블릭 피드(Public Feed)' 권한을 주기도 했다. 방송사 등은 페이스북 회원들이 어떤 이슈에 대해 포스트를 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고 성별 같은 인구통계학적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아직까지는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